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공도서관 이용자 33만→26만명 급감…4차산업혁명시대 새 역할 절실
도서관정보정책위,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 발표

정부는 4차산업혁명시대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해 이용자 맞춤형 추천(큐레이션) 정보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헤럴드경제=이윤미 기자]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방문자와 도서 대출이 지속적으로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보화시대에 빅데이터활용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국민의 요구에 발맞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위원장 신기남)가 23일 발표한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에 따르면, 지난 제2차 시기(2014~2018) 동안, 공공도서관 1곳 당 방문자 수는 2013년 33만1813명에서 2017년에는 26만 1103명으로 확 줄었다. 도서관 1곳당 대출도서 수도 2013년 15만1313권에서 2017년 12만1528권으로 크게 줄었다.

이는 성인독서율 감소와 맞닿아 있다. 성인독서율은 2013년 71.4%에서 2017년 59.9%로 무려 12%포인트나 하락했다. 이와 함께 도서구입비도 2010년 2만5921원에서 2016년엔 1만234원으로 줄었다. 두 권 사던 책을 한 권 밖에 안 산다는 얘기다. 

이런 독서환경 변화에 인구감소, 다문화사회, 정보화사회가 가속화하고 있는 점도 공공도서관의 이용률 저하를 낳는 요인으로 꼽힌다. 공공도서관이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도서관정보정책위는 이번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핵심과제로 모바일 디지털 서비스를 강화하고 도서관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 사물 인터넷 기반 도서관 환경 구축 등 스마트 도서관으로의 전환을 제시했다.

위원회는 4대 전략방향으로 △ 개인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도서관, △공동체의 역량을 키우는 도서관, △ 사회적 포용을 실천하는 도서관, △미래를 여는 도서관 혁신을 제시하고 13개 핵심과제를 내놨다.

우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미래 시민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인문·문화·예술·체험프로그램과 소통·토론형 사회적 독서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또한 시공간의 제약으로 도서관 활용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디지털 정보 서비스를 확대하고, 도서관 이용자별 생애주기에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전 생애 주기와 관련된 공공도서관에서는 이용자에 대한 연구와 수요조사에 기반해 도서관서비스를 개발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해 이용자 맞춤형 추천(큐레이션) 정보서비스를 확대한다, 각 도서관의 성격에 맞춘 역량을 강화, 학교도서관은 교과연계 학습 프로그램 제공을, 국립중앙도서관은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의 역할과 기능 강화를, 국회도서관은 국민을 위한 의회・법률정보 서비스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도서관 및 지자체 간 공동협력 사업 등을 통해 지역대표도서관의 역할 확대, 도서관의 지역(공공도서관)·교육(학교도서관)·지식(대학도서관) 공동체 속에서의 교류 협력 플랫폼 기능도 강화해 나간다.

고령화, 국제화, 정보기술 발전으로 인한 정보불평등을 해소도 주요 역할의 하나다. 도서관에 최적화된 정보불평등 지수 측정 도구를 개발해 활용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 신기술 등장에 따른 정보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정보와 매체 활용 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도서관을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휴식공간, 카페 등, 포용적 개방 공간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장애인, 노인, 임산부, 영유아 동반자의 이용을 돕는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된다.

위원회는 공공도서관 수도 확충, 2023년 1468개관을 목표로 내세웠다. 노후 도서관의 리모델링, 장서도 확충(2013년까지 국민 1인당2.5권)해 나갈 방침이다. 또한 누구나 인터넷에 접속해 자유롭게 학술정보를 읽고 쓸 수 있는 ‘오픈액세스’를 확대하는 등 정보 자원의 공유 기반을 구축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mee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