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가속페달 밟는 ‘수소시대’…美·日 제치고 가장 앞서 달린다
내연기관과 달리 민·관 주도 형태 추진
현대차 2030년 수소차 연 50만대 생산
연료전지 투자비용 대비 성과가 관건
“규모의 경제화…협업이 핵심 요소로”


현대자동차는 지난 12월 ‘FCEV 비전 2030’을 공개하고 오는 2030년 국내에서 연 50만대 규모 수소전기차 생산체제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신년사를 하고 있는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 [연합]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로 수소전기차(FCEV) 사업이 상당한 탄력을 받게 됐다.

특히 “수소차 보급을 오는 2022년 8만대까지 확대하겠다”는 전날 홍남기 경제부총리의 언급은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밝힌 2022년 목표(6만7000대) 대비 19.4%나 늘어난 것이다. 2040년 수소차 620만대 생산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목표 상향인 셈이다.

‘퍼스트 무버(First Mover)’라는 자신감의 기저엔 현대자동차그룹이 있다.

지난 12월 ‘FCEV 비전 2030’을 공개한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이 이날 문재인 대통령의 울산 방문에 동행한 이유다.

울산은 글로벌 수소시장 선점을 위한 전진기지로 지목된다.

현대차는 앞서 울산시와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실증 사업을 통한 수소사회 구현에 박차를 가하는 MOU를 체결했다. 울산테크노파크 내 수소연료전지 실증화 센터에 구축한 200㎡ 규모의 시설에선 500kW급 발전용 연료전지 시스템 실증 사업이 2020년 12월까지 진행된다. 2019년엔 1MW급 발전용 연료전지 시스템을 추가할 계획이다.

충북 충주에서 신축 중인 수소연료전지시스템 제2공장이 힘을 싣는다.

공장이 완공되면 연 3000대 수준인 수소연료전지시스템 생산 규모가 2022년 약 13배 수준인 연 4만대 규모로 확대된다. 현대차가 추산한 연구ㆍ개발(R&D) 투자 비용은 총 7조6000억원, 신규 고용 인력은 5만1000명에 달한다. 2030년 국내에서 연 50만대의 수소차 생산체계를 갖추는 게 현대차의 최종 목표다.

정의선 부회장은 충주 제2공장 기공식에서 “수소차처럼 수소 에너지를 활용하는 신산업 분야에서 ‘퍼스트 무버’로서 산업 트렌드를 이끌어 나가겠다”며 “대한민국과 현대차그룹이 머지않아 다가올 수소 경제라는 글로벌 에너지 변화의 핵심축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특허 전문 정보업체인 E4Tech에 따르면 2015년 기준 현대차의 수소차 관련 특허는 391개로 도요타를 앞섰다. 현재 양산 중인 ‘넥쏘(NEXO)’ 이전 모델인 ‘투싼 ix FCEV’를 통해 선제적으로 기술력을 확보했기 때문이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현재 연 1조5000억원 수준인 현대모비스의 전동화 부문 매출액이 2030년 무려 15조원의 거대 매출로 성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수소차 열관리 부품을 생산하는 한온시스템과 FCEV용 구동모터를 담당하는 S&T모티브 등 관련 기업의 부상도 예상된다.

내연기관 자동차와 달리 수소차 시장은 민ㆍ관이 주도하는 형태로 형성 중이다.

올해 정부가 설계한 수소차 전용 보조금 지급 대수는 전년(746대)의 6배 수준인 4000대다. 지원금을 비롯한 개발 독려는 세계적인 추세다.

중국은 ‘테크놀러지 로드맵’을 통해 2030년 FCEV 누적판매량을 100만대에서 200만대로 늘렸다. 일본은 신규 충전소를 10년간 총 400개 설치할 계획이다. 현대차의 경쟁업체인 도요타와 혼다 역시 정부와 협업이 한창이다.

비용 대비 성과가 관건이다. 독자기술 개발의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유지웅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각국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잇따르는 가운데 민ㆍ관 협업의 성과가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릴 수 있는 핵심요소로 주목받는 이유”라고 말했다.

한편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는 오는 2030년까지 전세계적으로 수소연료전지가 550만개에서 최대 650만개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확대에 따른 수요 증가가 근거다.

업계는 장기적인 수소 가격 인하로 수소차의 연간 운영비가 전기차 수준으로 떨어지고, 전력 생산을 위한 발전 원가도 천연가스 발전과 비슷한 수준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수소전기차와 별도로 오는 2030년 기준 연간 약 20만기의 연료전지시스템을 외부에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각국의 환경 규제 강화로 우호적인 시장이 조성되는 만큼 수요는 더 탄력을 받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정찬수 기자/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