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FOMC로 쏠리는 눈? “최상 시나리오 나와도 ‘불안’”
-한국시간 19~20일, 올해 마지막 美 FOMC 개최…점도표 하향 여부가 핵심
-금리인상 속도조절, 美 경기침체 우려 키울 수 있어…“낙관 지양해야”
-금리인상 변곡점에선 선진국<신흥국…“정책 기대감 높은 중국 주목”

연준이 FOMC에서 제시한 장기금리 전망치 변화 [자료=케이프투자증권]

[헤럴드경제=최준선 기자] 내년 미국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가늠할 수 있을 공개시장위원회(FOMC)가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금리인상 속도가 늦춰지는 결과가 나오더라도 자본시장에 큰 호재로 작용하긴 힘들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일시적인 심리안정은 가져올 수 있겠지만, 오히려 내년 미국 경기에 대한 의구심을 높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유동성 긴축 속도가 늦춰졌던 과거 사례에서 선진국 대비 신흥국 증시가 단기 강세를 나타냈던 점을 감안해, 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고개를 들고 있는 중국에 대해서는 투자 기회를 찾아볼 만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는 한국시간으로 오는 19~20일 FOMC 회의를 열고 올해 4번째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 따르면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은 73.2%로 동결(26.8%) 가능성보다 세 배가량 높게 점쳐지고 있다.

관전 포인트는 12월 금리 인상 여부 자체보다는 내년 금리 인상 횟수를 제시할 점도표의 하향 조정 가능성이다. 점도표는 FOMC 위원들이 각각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기준금리 수준을 점으로 찍어 표시한 도표로, 최근까지는 내년 3회 금리 인상을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달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미국 금리가 중립 금리 ‘바로 아래’에 있다고 언급했고, 시장 일각에서는 이를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겠다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특히 11월 FOMC 의사록을 통해서는 통화정책 성명 문구를 수정해야 한다는 위원들의 의견도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점도표 하향조정 가능성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부쩍 커진 이유다.

MSCI 기준 선진국 대비 신흥국 지수 추이 [자료=유진투자증권]

그러나 증권가에서는 점도표 하향조정이라는 최상의 시나리오가 나오더라도 그 영향을 낙관하긴 힘들다는 우려가 나온다. 금리인상 속도가 늦춰진다는 것은 단기적인 유동성 측면에서 호재로 작용하겠지만, 갑작스러운 노선 변화가 오히려 미국 경기에 대한 의구심을 높여 투자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소재용 하나금융투자 이코노미스트는 “점도표가 낮춰진다면 연준의 금리인상 경계감이 누그러진다는 점에서 일시적으로 심리안정을 가져올 수 있겠지만, 내년 미국 경제성장에 대한 전망치도 함께 내려간다면 일방적으로 우호적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안영진 SK증권 연구원 역시 “중기적 펀더멘탈(기초체력) 측면에서 ‘경기 사이클의 끝’ 논쟁을 부추길 수 있다”고 말했다.

대신 증권가는 금리인상 속도가 줄어들 경우 신흥국 증시가 차별적 강세를 나타낼 수 있다는 점에는 기대감을 높이는 모습이다. 금리인상 국면에서는 신흥국 부채 위험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며 해당 국가 증시를 주저앉히지만, 금리인상 속도가 늦춰지는 변곡점에서는 위험자산으로의 갑작스런 자금 쏠림이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과거 미국 기준금리 동결 국면에서 선진ㆍ신흥국 증시가 보였던 차이가 이같은 기대감을 뒷받침한다. 미국 기준금리는 2004년 6월부터 2006년 상반기까지 1%에서 5.25%로 가파르게 상승한 뒤 약 1년간 동결됐는데, 동결 당시 S&P 500 지수가 2006년 저점 대비 26.5% 상승하는 동안 모건스탠리캐피탈 인터내셔널(MSCI) 신흥국 지수는 무려 101.1% 상승했다. 지난 2016년 초, 중국 경기에 대한 우려가 고조돼 미국이 금리 인상을 연기했을 때도, 이후 반년 간의 상승 국면에서 MSCI 신흥국 지수는 S&P 500의 상승폭(18.4%)의 2배 가까이 급등했다.

신흥국 중에서도 중국에 대한 기대감이 상당하다. 중국에서는 18일 ‘개혁개방 40주년 대회’에 이어 이튿날 내년 경제 운영 방침을 확정하는 중앙경제공작회의가 열린다. 중국 정부가 내년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올해 목표치인 6.5%에서 최대 0.5%포인트 낮출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지만, 이와 함께 재정 확대를 통한 내수 부양 의지를 피력할 수 있다는 점이 핵심이다. 큰 폭의 관세인하와 시장진입장벽 완화 등 종합적인 발표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경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이번주 두 가지 정치 일정을 시작으로 내년 3월 양회(兩會)까지 중국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극대화될 것”이라며 “중국정부 정책에 대한 자본시장의 기대치가 매우 낮아진 현시점에서 긍정적인 자극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hum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