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12회 상하이비엔날레 전시전경. 주제인 프로리그레스(Proregress)를 ‘전진일보 후퇴양보(前一步 后退兩步)’로 제시했다. |
인도 날리니 말라니, 아라리오서 개인전
캐나다·벨기에 등 현대미술 유명작가도
67명 참여 비엔날레 내년 3월 10일까지
강서경·정은영 한국 유명작가도 동참
[상하이(중국)=이한빛 기자] 11월 상하이는 미술로 물든다. 시작 5년만에 아트바젤 홍콩을 넘보는 웨스트번드아트페어는 지난 11일 성료했지만 주요 미술관에서는 루이스 브루주아를 비롯 세기의 거장으로 꼽히는 작가들 전시가 내년 초까지 이어진다. 대부분 중국에서 첫 개인전이라는 것도 주요 포인트다. 올해는 특히 상하이비엔날레까지 열려 정치사회적 현상에 목소리를 내는 작품까지 만나볼 수 있다.
![]() |
루이스 브르주아, 셀 시리즈. 롱 뮤지엄. |
롱뮤지엄과 차량으로 5분 가량 떨어진 유즈뮤지엄에서는 이탈리아 작가 겸 큐레이터인 마우리치오 카텔란이 기획한 ‘디 아티스트 이즈 프레젠트(The Artist is Present)’전이 열린다. 명품 브랜드 구찌가 스폰서한 전시로 ‘카피(copy)’를 주제로 한다. 포스터부터 패러디다. ‘The Artist is Present’는 2010년 마리나 아브라모비치가 뉴욕 현대미술관(MoMA)에서 벌인 퍼포먼스 제목이다. 37명(팀)의 작가가 현대미술에서 가장 신성시 되는 원칙인 독창성과 의도에 대한 근원적 질문을 던진다.
멕시코 작가 호세 다빌라는 도널드 저드의 가운데가 빈 직육면체 가구를 종이박스로 재현하는 등 가짜, 표절, 모방, 패러디, 오마주, 미니어처, 쌍둥이, 닮은꼴, 흉내내기로 변주된다. 별관에선 레인룸(Raion Room) 전시도 진행중이다. LA카운티미술관에서 선보이며 유명세를 탄 전시로, 아티스트그룹 랜덤 인터내셔널의 작품이다. 폭우가 쏟아지는 전시장을 걸어도 젖지 않고 빗속을 체험할 수 있다. 3D스캔과 카메라 등 첨단기술과 예술이 만나 독특한 경험을 선사한다.
웨스트번드에 자리잡은 갤러리들의 전시도 미술관급이다. 아라리오 갤러리는 인도작가 날리니 말라니의 개인전 ‘캔 유 히어 미?(Can You Hear Me?)’를 개최한다. 아시아를 대표하는 여성작가로 거론되는 그는 회화, 벽화, 비디오 설치, 그림자극 등 다양한 장르의 작업을 해왔다. 초창기 감광지만을 활용한 사진작업부터 최근 컴퓨터그래픽을 활용한 영상작업까지 만날 수 있다.
![]() |
프란시스 알리스의 ‘La depense’전 전경. 록번드 아트 뮤지엄 |
![]() |
카타리나 그로세의 첫 중국전 ‘Mulbling Mud’. 치(chi) K11 아트 뮤지엄 |
![]() |
알프레도 자 ‘A Hundred Times Nguyen’(상하이 비엔날레 출품작) |
![]() |
도날드 저드의 작품을 위트있게 재현한 멕시코 작가 호세 다빌라의 작품. |
vicky@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