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육군은 예산먹는 하마? “1조2500억원 들여 보병전원에 차량지원”
강원도 철원군 일대 지뢰제거 작전이 진행중인 비무장지대(DMZ) 전경 [사진제공=연합뉴스]

-육군 “2030년까지 보병부대 기동화 계획 ‘백두산 호랑이 체계’ 도입”
-공군 대신 드론도 운용, 산하에 과학기술위원회 구성 ‘몸집 불리기’ 혈안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2030년이면 도보로 작전을 수행하는 보병부대 전원에게 차량이 지원된다. 전통적 개념의 보병부대가 사라지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천문학적 예산이 육군에 투입돼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육군은 이런 구상을 실현하려면 1조2500억원이 든다고 추산하고 있다.

육군은 18일 충남 계룡시 계룡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의 육군본부 국정감사 업무보고를 통해 보병부대의 전투원과 장비를 기동화, 네트워크화, 지능화하는 ‘백두산 호랑이 체계’를 2030년까지 모든 부대에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백두산 호랑이 체계에 따르면, 보병부대의 가장 작은 단위인 분대까지 차륜형 장갑차와 K200 장갑차, 소형 전술차량 등이 배치돼 모든 전투원이 도보가 아닌 차량으로 이동하게 된다. 모든 전투차량은 전투원의 생존성 강화를 위해 방탄기능과 원격사격통제장치(RCWS)도 장착하게 된다.

육군 모든 전투원에게 전투복, 방탄복, 방탄헬멧, 수통, 조준경, 소총 등 33종의 전투 피복과 전투 장비로 구성된 미래형 전투체계 ‘워리어 플랫폼’이 보급된다. 또한 육군 모든 부대에 드론봇이 전력화돼 유무인 복합전투체계가 구축된다.

모든 전투 플랫폼은 네트워크로 연결돼 전장 정보가 공유되고, 지휘관이 목표 타격 등의 결정을 내릴 때 인공지능(AI)의 도움을 받게 된다.

육군은 이런 내용의 백두산 호랑이 체계 도입을 위해 지난 5일 합동참모본부에 전력화 소요를 제기했다.

2021년까지 4개 대대 시범 적용에 약 300억원, 2025년까지 시범적용 부대 4개 여단 확대에 약 2000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육군은 추산했다.

2030년까지 전 부대로 확대하려면 약 1조2500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육군은 북한의 위협 대비에 초점을 맞췄던 기존 부대구조를 미래 다양한 위협에 대응하는 구조로 개편할 계획도 세웠다.

이를 위해 육군은 현재 사단 중심의 전투체계를 여단 중심으로 개편하고 모듈형부대구조를 도입키로 했다. 현재 1개 사단에는 3개 보병연대와 1개 포병여단이 편성돼 있지만, 2030년 이후에는 연대가 사라지고 사단 예하에 여단만 배치되는 구조로 바뀐다.

사단 예하에 2~5개 여단이 배치될 수 있고, 여단이 독립 작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육군 관계자는 “국방개혁에 의해 부대개편이 완료되면 여단은 현재 사단급 수준의 작전수행능력을 구비하게 된다”며 “미군과 마찬가지로 기동화된 여단을 중심으로한 모듈형 부대구조로 개편하면 다양한 위협과 임무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육군은 병력감축 추세에 맞춰 첨단과학기술군으로 거듭나기 위해 과학 분야에서 실현해야 할 목표를 총망라한 ‘히말라야 프로젝트’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에 따라 육군은 국방과학연구소(ADD)등 연구기관과 육군본부 간 기술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과학기술참모(CTO)를 두고 과학기술그룹과 과학기술위원회를 운영하기로 했다.

아울러 드론봇 전력화를 2020~2024년 국방중기계획에 반영해 내년에 대대급 드론봇 전투실험을 한 뒤 2020년 이후 여단급 드론봇 전투실험을 할 계획이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