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가계빚 광속 증가…OECD국 평균의 8배
소득대비부채비율 160% 돌파
고소득자 많아 건전성은 양호
다중·저소득·저신용 채무자
2금융권 고리대 의존 높아져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증가세가 선진국에 비해 8배 가량 가팔랐던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규제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지만, 앞으로도 이 같은 추세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최근에는 취약차주의 부채가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신용대출에서 급증하고 있는 점도 불안 요인으로 꼽혔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0일 정기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금융안정 상황(2018년 9월)’ 자료를 공개했다.

한은은 가계부채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을 여전히 웃돌면서 가계부채 비율이 상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17년 말 159.8%에서 올 6월 말 161.1%로,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83.8%에서 84.8%로 올랐다.

가계부채 증가속도는 주요 선진국을 크게 상회한다. 금융위기 이후(2009∼2016년)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증가속도(부채 증가율-소득 증가율)는 3.1%포인트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치인 0.4%포인트에 견줘 8배 가까이 높다.

다만 가계부채 소득ㆍ자산 수준이 높은 가계가 부채도 많아 건전성은 비교적 양호한 수준이라고 판단했다. 6월 말 현재 전체 가계대출 중 상위 30% 고소득자 비중은 64.1%에 이르며, 신용등급 1∼3등급인 고신용자 비중도 69.7%에 달한다.

문제는 취약차주였다.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하위 30%) 또는 저신용(7∼10등급)인 취약차주의 대출규모는 6월 말 현재 85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말에 비해 2조4000억원 증가했다.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ㆍ저신용인 차주의 대출규모는 12조8000억원으로 1000억원 늘었다.

취약차주의 대출을 업권별로 보면 비은행 대출 비중이 65.5%로 여전히 은행(34.5%)을 앞서고 있다. 비은행 금융기관 중에서는 상호금융이 25.3%로 가장 많고, 여전사(15.7%), 대부업(10.0%), 저축은행(7.8%), 보험사(4.8%) 순이었다.

특히 취약차주의 전체 가계대출 중 신용대출 비중은 6월 말 현재 43.1%로 집계됐다. 이 비중은 2014년 41.3%, 2015년 42.2%, 2016년 42.3%, 2017년 42.7% 등으로 계속 확대되고 있다.

한은은 “가계빚 규모가 크게 누증된 상황에서 가계부채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을 계속 상회할 경우 우리 경제의 소비 및 성장을 제약하고 금융시스템의 잠재 리스크를 증대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 “대출금리 상승시 취약차주의 채무상환 어려움이 커질 가능성이 있는 만큼 이들 계층에 대한 정책적 대응 노력이 지속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강승연 기자/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