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평양선언’에 개성공단 입주기업 자금 숨통 트이나
개성공단의 모습 [사진=헤럴드경제DB]
부족한 정책자금으로만 연명
남북정상 가동재개 공식선언
은행권 신규대출도 재개될듯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남북정상이 9ㆍ19 평양공동선언에서 개성공단 재개 방침을 밝히면서 은행권 대출이 꽉 막혔던 입주기업들의 자금난 해소 기대가 커지고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개성공단에 지점을 보유했던 우리은행이나 기업은행 등 입주기업과 거래가 많은 은행들은 대북제재가 해소되고 개성공단 재가동이 현실화되는 등 여건이 마련되면 금융지원에 나설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부산ㆍ경남은행의 경우 이미 6월에 개성공단 재가동시 입주, 납품하는 기업을 위한 2000억원 규모의 특별대출을 마련, 업체당 최대 5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2016년 2월 개성공단 가동이 중단된 이후 입주기업들은 기존 대출 상환과 자금조달에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수출입은행 728억원, 중소기업진흥공단 804억원 등 정부가 특별대출 지원에 나섰지만 1조원이 넘는 피해액에 비해 턱없이 부족했다. 10억원도 빌리지 못하는 기업들이 많아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었다.

시중은행에서 신규 대출을 받기는 하늘의 별 따기에 가까웠다. 은행들은 기존 대출의 만기를 연장해주는 등 조치를 취했지만 추가 대출까지 내주기는 어려웠다. 개성공단 폐쇄 전인 2015년 11월 말 기준으로 은행권 신용공여 규모는 이미 1조1069억원에 달한 상황이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책금융과 달리 시중은행 대출은 기업 신용도나 재정상황 등에 따라 달랐다”면서 “주 생산기지가 개성공단에 있는 기업들은 돈 빌리기가 더 힘들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개성공단기업협회에 따르면 당시 가동 중이던 기업 123개 중 49개는 생산비중의 100%를 개성공단에 뒀다. 입주기업 3분의 1 이상은 갑작스러운 철수 조치로 하루 아침에 생산기반을 잃어버린 셈이다. 중소기업중앙회와 개성공단기업협회가 3∼4월에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13.9%가 사실상 폐업인 상태에 놓여 있었다.

김서진 개성공단기업협회 상무는 “개성공단 생산비중이 높을수록 매출 피해가 커서 시중은행의 신규 대출이 어려웠다”면서 “공단 폐쇄 뒤 정부에서 운전자금 대출을 받은 것도 부채로 잡혀 대출여력이 없었다”고 전했다. 이어 “추가 대출이 막힌 기업들의 애로가 많았고, 특히 영세업체가 많은 섬유업 관련 제조기업들이 타격이 컸다”고 덧붙였다.

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