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재계 ‘기업구조조정촉진법 재입법’ 건의
- 대한상의ㆍ중기중앙회ㆍ중견기업연합회 국회에 건의문 제출
- 부실징후기업 위한 선제적 구조조정 필요성 촉구


[헤럴드경제=천예선 기자] 재계가 부실징후 중소기업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조조정을 위해 기업구조조정촉진법(이하 기촉법)의 신속한 재입법을 22일 국회에 건의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이날 중소기업중앙회, 한국중견기업연합회와 공동으로 ‘기업구조조정촉진법 재입법에 대한 경제계 의견’을 22일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기촉법은 ‘워크아웃’을 통해 부실 징후가 있는 기업의 회생을 지원하는 제도다. 2001년 한시법으로 제정된 이후 네 차례 연장돼, 지난 6월 30일로 일몰 폐지됐다. 현재 기촉법 제정안 3건이 국회에 계류 중이다.

재계는 “최근 이자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이 증가하는 가운데 워크아웃으로 경영정상화가 가능한 중소기업이 기촉법 부재로 파산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기촉법의 조속한 재입법을 촉구했다.

건의서에 따르면, 중소기업 10곳 중 4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갚지 못하는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자보상배율이 1.0 미만인 중소기업이 44.1%에 달했다.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인 기업 비율도 지난해 30.9%으로, 기업 10곳 중 3곳이 충분한 돈을 벌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재계는 ▷워크아웃(기촉법 근거) ▷법정관리(통합도산법 근거) ▷자율협약 등 국내기업 구조조정제도 세 가지 가운데 중견ㆍ중소기업에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 ‘워크아웃’으로 보고 있다.

워크아웃은 원금 상환 유예, 이자 감면, 신규 자금 조달 등의 요건에 대해 총 신용공여액의 75% 이상만 동의하면 가능하다. 적용 대상도 부실기업뿐만 아니라 부실징후기업까지 폭넓게 인정한다.

반면 법원 주도의 ‘법정관리’는 모든 채권자를 참여시키고 법적 요건도 까다로워 구조조정이 장기간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적용대상도 ‘부실기업’만 가능하다.

재계는 “법정관리절차 진행시 협력업체에 대한 대금지급 중단 및 채무조정 실시 등으로 해당기업의 부실이 협력업체까지 전이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채권금융기관 주도의 ‘자율협약’에 의한 구조조정 역시 채권단 동의를 받기 쉬운 대기업에만 대부분 적용됐을 뿐, 중소기업은 사실상 사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중소ㆍ중견기업의 기촉법상 워크아웃 활용은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며, 기업회생률도 기촉법을 통한 워크아웃이 법정관리보다 높다고 재계는 판단하고 있다.

실제 워크아웃 기업 145곳 중 61곳이 회생해 성공률이 42.1%로 집계됐으나, 법정관리기업은 102곳 중 28곳만 회생해 성공률이 27.5%에 그친다.

박재근 대한상의 기업환경조사본부장은 “기업 간 편중화가 심화하고 부실징후가 늘어나고 있으며, 시장 자율의 기업구조조정 관행이 정착되지 않은 상황에서 조속히기촉법을 재입법해 기업들의 효율적 구조조정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cheon@heraldcorp.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