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문화스포츠 칼럼-최석호 서울신학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근대사회와 레저소비
18세기 후반 조선에서는 농업생산성이 증가하고 상공업이 융성한다. 신분질서는 느슨해지고 농민은 빈번하게 봉기한다.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로 나아가고자 하는 내재적 변동이다. 잘사는 강한 나라를 만들고자 오랑캐에게 배우는 것도 부끄럽게 생각하지 않았던 북학파는 개화파에게 바통을 넘긴다.

그러나 일제에게 무릎을 꿇으면서 자주적 근대화는 좌절한다. 일제가 강요한 식민지 근대화는 우리사회를 둘로 가른다. 실력을 길러서 자주적 근대화로 나가려는 계몽주의자와 시대를 잊고자 유행에 몸을 던진 모던 보이로 나뉜다(황기원). 거의 모든 근대국민국가와 마찬가지로 나뉜 둘은 미디어를 통해 근대를 만난다. 지식인에게 신문과 라디오 그리고 유성기는 지위 상징(Status Symbol)이면서 동시에 어른용 장난감이다.

1883년 10월 31일 한성순보를 발행하면서 신문의 역사를 시작한다. 1884년 갑신정변과 함께 인쇄시설이 파괴된다. 1886년 1월 25일 한성주보로 다시 역사를 이어간다. 그러나 진정한 신문의 역사는 서재필과 함께 시작한다. 1896년 4월 7일 독립신문 창간일은 그래서 신문의 날이 된다. 1898년 매일신문, 제국신문, 황성신문 등 창간 봇물이 터지던 해에 매일신문에 이어서 독립신문도 일간으로 발행한다. 일제강점기로 접어들면서 신문은 매일신보(1910년)와 조선일보(1920년), 동아일보(1920), 시대일보(1924) 등 총독부기관지와 민간지로 양분된다.

민간신문 독립신문과 총독부기관지 매일신보. 1896년 4월 7일 독립신문 창간일을 기념하여 맞춰 신문의 날을 제정했다. 신문은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계몽을 위한 수단이었다. 신문도 변화를 겪는다. 근대도시문화의 일부로써 점차 상품화된다.

식민지 지식인은 다방에서 커피를 마신다. 그는 손에 항상 신문을 들고 있다. 신문지상 만문만화(漫文漫)는 “예리하고 풍자적이기는 하지만 심하게 불쾌하거나 잔혹하지 않게 시대의 얼굴을 예리하게 포착”한다(신명직). 소설과 시 등 근대문학을 접하는 통로 역시 신문이다.

1926년 8월 5일 극작가 김우진과 성악가 윤심덕이 현해탄에 뛰어든다. 이룰 수 없는 사랑 때문이다. 윤심덕은 ‘다뉴브 강의 잔물결’을 번안한 ‘사의 찬미’를 일본에서 녹음하고 돌아오던 길이다.

이 음반은 조선에서 10만장이나 팔린다. 유성기도 없으면서 음반을 샀다는 말이 된다. 조선 음반시장의 가능성을 확인한 일본 음반회사들은 경쟁적으로 조선에 진출한다. 1928년 빅타 총 대리점, 1929년 콜롬비아 경성지점, 1931년 포리도루 조선영업소 등. 1935년 조선에서 팔린 레코드는 1천 5백만 장, 이 중 조선말로 부른 노래는 4~50만 장(최병택·예지숙). 손에 신문을 든 조선 중년은 집에 유성기를 들인다.

1927년 2월 16일 경성방송국에서 첫 라디오 전파를 송신한다. 우리나라 사람 중에서 라디오를 가진 사람이 275명밖에 없던 때다. 1933년에는 3만 2천대로 늘어나고 1945년에는 22만 8천대에 이른다. 읽는 레저도구에서 듣는 레저도구로 바뀐다. 여태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레저세계로 들어간다. 근대로 첫 발을 들이자마자 레저상업화가 기지개를 펴는 것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