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심층분석] ‘동네북’된 편의점…수많은 퇴직자들은 왜 편의점 창업에 몰렸을까
‘창업 안전지대’로 꼽혔던 편의점의 출혈 경쟁이 심화되면서 수익성도 점차 떨어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전국 편의점 수, 1987년 7개에서 올해 4만개
- 초기 자금 적게 들고 진입 장벽 낮지만
- 시장 포화ㆍ최저임금 상승으로 수익성 떨어져

[헤럴드경제=박로명 기자] 이은혁(가명ㆍ57)씨는 지난해 초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편의점을 열었다. 29년간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영업 전선에 뛰어들었다. 편의점은 다른 프랜차이즈와 비교해 초기 자금이 적게 들고, 수익률이 높지는 않지만 꾸준히 매출을 거둘 수 있는 안정적인 업종이라는 판단에서였다. 이 씨가 투자한 금액은 가맹비ㆍ점포 임차비용 등을 모두 합쳐 1억3000만원 가량이었다. 그는 “평생 월급쟁이로 밥벌이를 했고, 특별한 기술 없이 소자본으로 창업할 수 있는 건 편의점뿐이었다”며 “몇 개월이 지나자 사업 노하우가 쌓여 수익이 나는 듯 했지만, 최저임금 인상이라는 예상치 못한 악재로 점포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최근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은퇴로 50ㆍ60대 퇴직자들의 편의점 창업이 꾸준히 늘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1987년 7개에 불과하던 전국 편의점 매장 수는 올해 4만개를 돌파했다. 편의점의 인기는 소자본으로 비교적 쉽게 창업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었다. 하지만 최저임금이 2년 연속 두 자릿수로 인상되면서 아르바이트 인력 의존도가 높은 편의점의 매력도 점차 낮아지고 있다.

국세청이 지난해 11월 공개한 ‘100대 생활업종 통계’에 따르면 편의점 사업자 수는 2014년 2만7116명에서 2015년 2만9995명, 2016년 3만3384명으로 증가했다. 이어 지난해에는 3만7017명을 기록했다. 2014년과 비교해 36.5% 증가한 수치다. 이 가운데 한 명의 점주가 여러개의 편의점을 운영하는 다점포 비율은 30% 가량이다.

편의점은 적은 자본으로 일정 수익을 낼 수 있는 ‘창업 안전지대’로 꼽힌다. 커피전문점과 베이커리, 치킨집 등 프랜차이즈의 경우 점포 임차비용을 제외하고도 최소 1억5000원에서 최대 3억원을 투자해야 한다. 반면 편의점의 경우 적당한 점포를 정한 후 본사에 가맹비, 상품준비금 등 초기자금 2200만~2400만원만 내면 된다. 사업 모델도 사업자가 직접 점포를 임차하는 ‘가맹형’과 본사 소유ㆍ임차 점포를 받아 운영하는 ‘위탁형’으로 나눠져있다. 사업자가 여유 자금에 따라 사업 모델을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진입이 쉬운 만큼 상권 경쟁도 치열하다. 전국 편의점 수는 2016년 3만개를 넘어선 이후 2년 만에 4만개를 돌파했다. 그만큼 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면서 근접 출점으로 인한 갈등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출혈경쟁이 심해진데다 최저임금 인상까지 맞물리면서 편의점주들은 최악의 시기를 보내고 있다.

편의점 점포당 매출은 지난해 2월 3.5% 감소한 이후 12개월 연속 역신장했다. 올해는 지난 2월 0.4% 증가로 반등하면서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최저임금 인상으로 신규 출점이 주춤한데 따른 착시 효과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더 이상 편의점을 ‘창업 안전지대’로 볼 수 없다”며 “점포 수 급증으로 타 점포와 상권이 겹치고, 인건비 부담이 커지면서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다”고 했다.

dod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