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정부 초기로 돌아간 코스피…“싸다고? 동력이 없다”
[자료=한국거래소]

-‘저평가’ 분석에도 ‘박스권 재진입’ 우려 커져
-상장사 이익 전망치 내리막 일변도…지난해 이익 성장률 50% vs 올해 ‘한자릿수’
-바이오 테마감리ㆍ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난관 등으로 기대 ‘찬물’

[헤럴드경제=최준선 기자] 코스피 지수가 문재인 정부 출범 초기 수준까지 하락했다. 전세계 유동성 긴축 흐름과 미ㆍ중 무역갈등 등 대외 환경의 불확실성이 큰 영향을 미쳤지만, 국내 기업들의 실적 부진과 통화정책 정상화를 기대하기 힘들게 만드는 경기지표 등이 코스피를 ’저평가‘ 늪에 묶어두고 있다. 장기적으로 기업의 주주환원정책을 확대해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의 첨병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 스튜어드십코드 역시 정치논리에서 자유롭지 않은 국민연금에 대한 불신으로 도입이 지지부진하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코스피는 0.39% 하락한 2301.99포인트에 장을 마쳤다. 이는 지난해 5월 10일 문재인 정부 출범 당시(2270.12포인트)와 비슷한 수준이다. 2260선 밑으로 지수가 내려갔던 지난 5일 이후 상승 흐름이 나타나자 “반등이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이 역시 단기투자성향이 강한 개인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집중된 결과로, 6일 이후 기관과 외국인투자자들은 각각 455억원, 1056억원어치 코스피 주식을 내다 팔았다. 

[자료=대신증권]

금융투자업계 전문가들이 ‘지수 바닥’으로 언급해 왔던 경계선이 무너진 만큼, 투자자의 답답함은 더 커지고 있다. 특정 지수에 속한 기업들이 얼마나 저평가되고 있는지 가름하는 주요 통계로는 주가순자산비율(PBR)이 있다. 이 비율이 1배 미만으로 떨어졌다는 것은 주가가 기업 청산가치보다도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많은 금융투자업계 전문가들은 2008년 금융위기 때와 같은 본격적 위기 국면을 제외하고는 코스피가 PBR 1배 언저리에 머물러 있던 점을 들며, 1배 밑에서는 지수가 반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코스피는 12개월 선행(올해 및 내년도 말 기준 예상 자본총계를 가중평균해 반영) PBR 1배 수준인 2400선 밑에서 한달 째 횡보 중이다. 보수적으로 산출한 12개월 후행(최근 4개 분기 기준 확정 자본총계를 가중평균해 반영) PBR 1배인 2300선도 이미 무너졌다.

코스피가 저평가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실적에 대한 낮은 기대감이다. 1차적으로 미국을 필두로 한 전세계 유동성 긴축과 미ㆍ중 무역갈등으로 인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국내주식 투자 심리를 악화시키고 있지만, 이를 버텨낼 기초체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연초 171조원에 달했던 올해 코스피 영업이익 예상치는 꾸준히 하락해 16일 기준 161조원으로 집계됐다. 노동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지난해 코스피가 박스권을 탈피한 동력은 50%에 가까운 이익 증가율이었다”며 “올해 이익 증가는 지난해 대비 5~10%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가 투자자들의 기대감에 찬물을 뿌린 경우도 적지 않다. 대표적인 것이 제약ㆍ바이오 업종이다. 금융당국은 제약바이오 업체들의 연구개발(R&D) 비용 회계처리 관행이 적절치 않다고 지적하며 지난해부터 테마감리를 벌이고 있다. 최근 금융위원회가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해 회계기준 위반으로 검찰고발 결정을 내린 동시에, 분식회계 건과 관련해선 판단을 유보한 것도 업계의 긴장감을 배가시키는 요인이다. 한 상장 제약사 재무 담당자는 “강화되는 회계 감리도 감당하기 버거운데, 당국 간의 기싸움으로 인해 참고할 기준마저 제대로 마련되지 못하는 상황이 답답하다”고 하소연했다.

금융투자업계는 주주환원정책이 외국인 수급 개선을 이끌 수 있다고 전망하지만, 기대감의 토대가 될 ‘스튜어드십 코드’를 둘러싼 잡음은 끊이지 않고 있다. 금융투자업계는 배당성향(당기순이익 대비 총 배당금 비율)이 5% 올라갈 때 주가순이익비율(PER)이 1배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한다. 국민연금을 비롯한 기관투자자들이 수탁자 책임을 강조한 한국형 스튜어드십코드를 도입하고 확대할 때, 낮은 배당성향에 따른 고질적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다소 해소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형성된 배경이다. 그러나 국민연금이 마련한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방안에 대한 공청회가 17일 진행될 것으로 예정된 가운데, 재계는 국민연금이 정부로부터 독립성을 확보하지 않는 한, 스튜어드십 코드가 결국 ‘기업 길들이기’ 및 ‘연금 사회주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hum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