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나홀로가구 561만3000가구…청년 1인가구 1년새 10.7%↑
만혼ㆍ혁신도시 이전 영향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20대 후반을 중심으로 나홀로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청년들의 결혼 기피현상과 지방 혁신도시 이전으로 혼자 살림을 꾸리는 경우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1인 가구는 561만3000가구로 1년 전보다 17만9000가구(3.3%) 늘었다.

1인 가구가 전체 가구보다 더 빠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8.1%에서 28.7%로 상승했다. 취업자인 1인 가구를 연령별로 보면 중장년층인 50∼64세가 26.5%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30∼39세(23.7%), 40∼49세(21.0%), 15∼29세(18.8%), 65세 이상(10.1%)등이 뒤를 이었다.

교육 정도별로 보면 대졸 이상 취업자 1인 가구가 148만6000 가구(43.3%)로 가장 많았다. 최근에는 나이가 어리고 교육 정도가 높은 청년층 1인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년과 비교하면 15∼29세 1인 가구가 6만2000가구(10.7%) 늘어나 전체 연령대 중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취업자 청년층 1인 가구는 지난해 주로 20대 후반을 중심으로 빠르게 늘어나면서 2016년 증가율(4.1%)의 두 배를 넘어섰다. 15∼29세 1인 가구가 전체 취업자 1인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7.7%에서 18.8%로 1.1%포인트 상승했다.

대졸 이상 취업자 1인 가구도 같은 기간 9만1천가구(6.5%) 늘어나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청년층 1인 가구의 증가세는 최근 청년들의 결혼 기피 현상이 일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정부의 분석이다. 취업과 동시에 지방 혁신도시로 이전해 혼자 살림을 꾸리는 청년들이 늘어난 영향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산업별로 보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124만8000 가구(36.4%) ▷도소매·숙박음식점업(73만3000가구·21.4%) ▷광ㆍ제조업(56만2000가구·16.4%) 순이었다. 광·제조업, 건설업 등에서 비중이 늘었지만 농림어업, 도소매·숙박음식점업 등은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시·일용직이 88만1천 가구로 전년(86만2000가구)보다 1만9000가구 늘었다. 전체에서 비중은 33.7%에서 32.8%로 하락했지만 전체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임시·일용직 비율(24.3%)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이었다.

1인 가구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42.8시간으로 전년과 같은 수준이었다. 전체 취업자 취업시간(43.3시간)보다는 0.5시간 적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