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워라밸 실효성 높이려면 세제혜택 등 인센티브 강화를”

한국경제硏, 600대기업 설문


연차사용, 정시퇴근 등 이른바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지원금과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가 강화돼야 한다는 조사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 ‘600대 기업 일ㆍ생활균형 제도 현황’(155개사 응답)을 조사한 결과, 기업들은 정부의 ‘근무혁신 10대 제안’중 올해 ‘연가사용 활성화’(52.3%)를 가장 잘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혁신 10대 제안은 지난 2016년 정부가 일ㆍ생활 균형과 업무생산성 향상을 위해 마련한 제안이다. 연가사용에 이어 ‘정시 퇴근하기’(41.9%)와 ‘퇴근 후 업무연락 자제’(23.9%), ‘건전한 회식문화’(20.6%) 등이 잘 실천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근무혁신 10대 제안 중 가장 실천되지 못하고 있는 사항으로는 ‘관리자부터 실천하기’(40.6%), ‘유연한 근무’(31.6%), ‘똑똑한 회의’(26.5%) 등이 꼽혔다. 또한 응답자 중 61.9%가 올해 근무혁신 10대 제안 중 ‘정시 퇴근하기’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답했고, ‘업무집중도 향상’(34.2%), ‘유연한 근무’(23.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설문에 따르면 기업 10곳 중 8곳(81.3%)는 법정 의무 이상의 출산ㆍ육아휴직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행 중인 제도는 ‘여성 전용 휴게실 설치’(62.6%), ‘임신, 출산 의료비 지원’(31.0%), ‘자동육아휴직제’(18.7%) 이다. 기업들은 ‘근로자 로열티 제고’(43.7%), ‘출산ㆍ육아로 인한 인력손실 방지’(26.2%) 등의 이유로 출산ㆍ육아 지원 제도를 도입했다고 응답하면서도, 제도 시행에 따라 ‘다른 직원들의 업무 부담 증가’(80.0%), ‘성과평가ㆍ인사관리의 어려움’(1.9%) 등의 애로사항을 토로하기도 했다.

다만 남성 육아휴직 확산 움직임은 여전히 주춤한 분위기다. 주요기업 10곳 중 7곳은 육아휴직자 중 남자직원 비율은 10%가 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은 남성 육아휴직 확대를 위해 ‘업무공백 대안 마련’(49.7%)이 가장 필요하다고 밝혔다. ‘직장 내 눈치 주는 문화 개선’(25.2%), ‘남성 육아휴직 할당제 도입’(11.0%) 필요성에 대한 공감의 목소리도 있었다.

유연 근무제의 경우 응답기업 중 절반이 넘는(53.5%) 기업이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근무 형태로 보면 ‘시차출퇴근제’(66.3%)를 가장 많이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고, ‘탄력근무제’(48.2%), ‘단축근무제’(19.3%), ‘재택근무제’(9.6%)가 그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정부에서 추진하는 일ㆍ생활 균형 제도 증가로 인해 ‘직장 내 근로환경 개선 가속화’(43.2%), ‘사업주의 인식 제고’(33.5%)와 같은 긍정적인 의견을 보이면서도, 제도 실효성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뒷받침 돼야한다는 데 공감했다. 특히 가장 먼저 추진되야하는 부분로는 ‘제도 실시 기업에 대해 지원금 인상ㆍ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 강화’(56.1%)가 꼽혔다.

이밖에도 ‘법규위반 사업장에 대한 감독 강화’(23.2%), ‘대체인력 채용 지원 강화’(15.5%) 등이 그 뒤를 이었고, 출산·육아와 관련해서는 ‘사내어린이집 설치’(29.7%)와 ‘출산휴가급여 인상’(18.7%)이 근로자에게 실질적 도움이 클 것이라고 응답했다.

추광호 한경연 실장은 “정부가 추진하는 일ㆍ생활균형 제도 시행으로 많은 기업들의 근로환경이 개선되고 있지만, 남성 육아휴직의 경우 업무공백에 대한 우려 등 애로사항도 존재한다”며 “제도 실시 기업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인센티브를 통해 ‘워라밸 문화’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손미정 기자/balm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