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건강한 구강생태계 조성하는 구강유산균 시대로 진화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성장, 장내 미생물 이어 구강 생태계에 대한 관심 증대
-건강한 구강 미생물 생태계 조성 방안으로 구강유산균 효능 입증..국내 시장 성장세

인체 내 다양한 미생물을 연구하는 마이크로바이옴 산업이 4차 산업혁명의 바이오 생명공학분야를 이끌 신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의 시장조사기관(Markets and Markets)에 따르면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시장의 규모는 2022년 USD 5억 달러, 2025년 9억 달러로 전망된다.

휴먼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관심으로 인체 내 유익균에 대한 연구 및 제품 상용화도 한창이다. 제2의 뇌라 불릴 정도로 가장 많은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는 ‘장(대장)’을 대표적으로, 최근에는 입 속 건강을 지켜주는 구강유산균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비감염성 질환(병원균 감염 없이 발생하는 질환)이 잇몸병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발표하는 등 구강 내 유해세균이 전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건강한 구강 미생물 생태계 조성에 대한 업계와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제품 상용화, 장 프로바이오틱스에 이어 구강 염증질환·구취 제거에 효과적인 구강유산균시장으로 확대

우리 인체는 무려 39조 개의 다양한미생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 구강 내에는 약 770 여종의 미생물이 살고 있으며 구강 내부는 습도, 온도, pH 등 생리적, 영양적으로 미생물이 증식하기에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특히 충치, 치주 질환 등 대부분의 구강 질환은 염증질환으로 유해균과 유해균의 효소작용에 의해 염증과 구취가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전염성을 가지고 있어 물리적인 접촉이나 음식을 나누어 먹는 과정에서 사람을 통해 전염되기도 한다.

양치질이나 구강 청결제 등 대부분의 구강관리는 이러한 유해균을 없애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러나, 무분별한 구강 청결제 사용 시 구강 건강에 꼭 필요한 유익균도 함께 박멸할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 구강 내 유익균이 줄어들면 충치나 잇몸 질환을 유발하는 유해 세균의 번식이 쉬워지기 때문이다.

구강 내 유익균이 구강 생태계 조성과 구취 제거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가 입증되면서 질환 완화는 물론 건강한 구강 밸런스를 관리하는 예방법으로 구강유산균 제품이 주목받고 있다.

대표적인 구강유산균인 웨이셀라사이베리아(Weissellacibaria CMU)는 구취를 억제하는 효능으로 특허 받은 구강유산균이다. 웨이셀라사이베리아 CMS1균을 섭취한 실험 결과 치석의 전단계인 치태지수 대조군이 0.5%, 섭취군은 20.7%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치주과학저널에 따르면 다른 연구에서는 웨이셀라사이베리아 CMU균을 섭취했을 때 구취유발 성분이 48.2%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왔다.

구강유산균에 대한 효능이 알려지면서 구강유산균 제품을 출시하는 국내 기업도 늘고 있다. 마이크로바이옴 기업 비피도를 대표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 전문 회사 프로스랩과 바이오가이아 등이 있다. 특히 비피도는 30여년간 미생물을 연구해온 기술력과 난배양성균주 배양, 제품 상용화 기술을 통해 구강유산균인 CMU 균주의 제품화를 성공시키는 등 구강유산균을 시작으로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제품 상용화에 앞장서고 있다.

마이크로바이옴 선도 기업 비피도 관계자는, “구강유산균은 장내 미생물에 이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중 제품 상용화가 가장 활발한 분야다. 최근 마이크로바이옴 산업에 대한 관심 증가로 자사 구강유산균 제품 매출이 급신장하는 등 앞으로의 성장이 더욱 기대되는 시장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구강유산균을 통해 구강 내 유익균을 보충하는 것이 구강 건강 관리 및 염증 질환 예방관리에 효과적인 만큼, 제품 선택 시 검증된 균주를 사용하는지를 확인하고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윤병찬 yoon4698@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