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6~8월, ‘오존’이 당신을 숨막히게 한다
서울 오존주의보 작년 33회
3년간 발령 80% 6~8월 집중
차량증가·기후변화 주요원인

오토바이 연료 LPG 전환 필요

1000만 시민이 사는 서울 하늘에 바람 잘 날 없다. 황사ㆍ미세먼지가 막바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여름철이 되니 이번에는 오존 농도가 높아지고 있다. 예측 가능한 상황이 매년 되풀이되고 있지만, 충분한 대책이 매번 없는 것이 현실이다. 아픈 하늘 밑에 있는 시민들만 지쳐 ‘실신’ 직전이다. 그나마 황사ㆍ미세먼지는 수없이 많이 다뤄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헤럴드경제는 관심 밖에 놓였지만 점차 심각해질 오존을 집중 조명하고, 이 같은 ‘대기실신’ 시대로 인해 달라진 사회상을 비추고자 한다.

이번에는 오존이다. 황사ㆍ미세먼지가 가을철을 기약하며 마지막 힘을 짜내고 있는 상황에서 오존이 조용히 고개를 들고 있다. 급성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오존의 농도는 여름철을 중심으로 매년 짙어지는 추세지만, 심각성은 미세먼지에 밀려 가려진 실정이다.

여름철에 접어들며 미세먼지가 차츰 옅어지자 이제는 오존이 고개를 들고 있다. [연합뉴스]

24일 서울시에 따르면, 2015년 4회(3일)에 불과한 오존 주의보 발령 횟수는 2016년 33회(17일), 지난해 33회(12회) 등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 기준으로 올해는 발령이 안 된 상황이나, 지난 3년간의 오존 주의보 중 80%가 6~8월에 내려진 점을 보면 방심할 수 없는 처지다. 올들어 첫 오존 주의보는 지난달 19일 인천과 경기지역에 내려졌다. 지난해(4월30일)보다 11일이나 빨라진 시점이다. 오존은 대기 중 농도가 0.12ppm 이상일 때 주의보, 0.3ppm 이상일 때 경보, 0.5ppm 이상일 때 중대경보가 발령된다.

전문가들은 오존 농도의 상승세인 원인으로 차량 증가를 꼽는다.

오존은 주로 질소산화물(NOx)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자외선에 노출될 때 생성되는데, 이 두 물질은 차량에서 상당량이 나온다는 것이다.

서울시에 등록된 차량은 2016년 기준 308만3007대에 이른다. 전년(305만6588대)보다 0.9%(2만6419대) 늘어난 양이다. 박종길 인제대 대기환경정보연구센터 소장은 “전체 차량 중 상당수를 차지하는 휘발유ㆍ경유차가 오존의 급격한 증식을 이끈다”고 했다.

이 가운데 특히 이륜차량(오토바이)이 문제라는 목소리도 높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서울시에 등록 신고를 한 이륜차량은 같은 연도 기준 45만2439대다. 전체 14.6% 비중이다. 그러나 휘발성유기화합물 등 대기오염 배출량은 전체 차량의 25~35%를 넘나든다는 환경부의 조사 결과가 있을만큼 심각하다는 주장이다.

상황은 이렇지만 이륜차량은 신고제이기에 체계적인 관리부터 안된다. 환경부는 오는 2021년부터 기존 대형 이륜차량(260㏄ 초과)에서 중소형 이륜차량(50~260㏄)까지 배출가스 정기검사를 확대 추진하겠다는 안을 올 초에야 서둘러 발표했을 뿐이다. 이마저도 올해 이후 만들어진 이륜차량만 대상이다. 이륜차량은 정부의 대기질 대책에서 본질적으로 빠져 있는 것이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이륜차량은 관리 제도를 다듬는 데 앞서 수량 조사부터 다시 해야하는 단계”라고 지적했다.

석탄 화력발전소와 공장 등도 같은 이유에서 주범으로 언급된다. 이들 시설이 화석연료를 태울 때도 상당량의 질소산화물이 배출되기 때문이다.

기후 변화도 큰 요인이다. 오존은 생성 원리상 자외선이 강할수록 농도가 짙어진다. 지구 온난화가 이어질수록 더 기승을 부릴 수밖에 없는 구조다. 기후 전문가는 “25도 이상의 화창하고 바람 불지 않는 날이 오존 생성의 최적 조건”이라며 “이대로라면 3년 내 3월 중에도 오존 주의보가 내려질 수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오존 경보 발령시 차량 운행 자제, 오존 중대경보 발령시 차량 운행 금지 등을 지침으로 두고 있다. 그러나 이는 임시방편일 뿐, 오존의 위협에서 벗어나는 데는 긴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 중론이다. 가장 먼저 친환경 전기차량 대중화가 이뤄져야 한다는 말이 나오지만 이마저도 진행은 더디다.

2016년 기준 서울에 등록된 전기차량은 모두 1498대다. 30.1%가 늘었지만, 숫자로 보면 고작 347대 많아졌을 뿐이다.

박종길 소장은 “독일과 프랑스도 환경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막대한 보조금을 앞세워 이미 차량 40~50%를 전기차량으로 바꿨다”며 “우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도 심각성을 인지하고 보조금을 대폭 늘리는 등 획기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또 일부에서는 연료를 LPG를 이용하는 택시의 10배이상의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오토바이도 LPG로 연료를 대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실제 미국 일본을 비롯 수많은 국가에서 LP가스를 오토바이 연료로 사용하고 있으나 우리는 국토교통부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있는 상황이다.

재생 에너지 의존율을 높여야 한다는 말도 있다.

오재호 부경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재생에너지는 환경오염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라며 “태양열발전소 확대 등 재생에너지 확대사업을 지속해 석탄 화력발전소 의존도를 차츰 낮춰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원율 기자/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