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댓글 대책]“댓글 개수 제한 땜질식 처방”…매크로 방지 효과도 의문
- 1차 개편안 ‘미봉책’…근본적 대책 고민 필요
- 대책 엇갈려…“포털ㆍ뉴스 분리” vs “투명성↑”

[헤럴드경제=정윤희 기자]네이버가 1차 댓글 시스템 개편안을 내놨지만 ‘드루킹 댓글조작 사건’으로 촉발된 논란을 잠재우긴 역부족이다.

단순히 댓글 작성, 공감/비공감 개수를 제한하고 작성 간격을 늘리는 것은 ‘미봉책’일 뿐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는 목소리가 거세다. 지금이라도 포털을 ‘여론을 주도하는 커뮤니케이션 사업자’로 보고 역할과 책임을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복수의 전문가들은 네이버의 1차 개편안에 대해 ‘단기적인 땜질식 처방’이라는데 의견을 모았다.

이날 네이버는 동일 기사에 1인당 달 수 있는 댓글을 3개로 제한하고, 24시간 동안 클릭할 수 있는 공감/비공감 숫자를 50개로 제한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연속 댓글 작성시 필요한 시간도 10초에서 60초로 늘렸다.

이에 대해 김성철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는 “댓글 개수 제한 등은 네이버가 급히 내놓은 단기적 조치일 뿐”이라며 “좀 더 시간을 갖고 이용자의 뉴스 소비 패턴, 편의성에 맞는 장기적인 개편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댓글 수 제한은 전혀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며 “네이버는 왜 계속해서 댓글 정책을 가져가려 하는지 그 이유부터 명확하게 밝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개편안이 매크로(동일 작업 반복 프로그램)를 비롯한 ‘헤비 댓글러’를 막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의견이 대세였다.

김관규 동국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한 사람이 많은 의견을 내는 것처럼 포장하는 것을 제한한다고 하는데, 효과는 사실상 의문”이라며 “드루킹이 600개 이상의 아이디를 가졌다는데, 결국 이를 어떻게 막겠다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보안업계 관계자 역시 “단순히 댓글 수를 제한하거나 작성 간격을 늘리는 것만으로는 매크로를 막기 어려울 것”이라며 “단적인 예로 10초에 한 번씩 돌아가는 매크로를 60초에 한 번씩 돌아가게 하는 식으로 알고리즘을 변경하는 식으로 우회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장기적인 대책에 대해서는 전문가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네이버는 5월 중순 댓글 정렬 방식을 개선하는데 이어 궁극적으로 사용자마다 다양한 정보를 보는 구조, 사용자가 마음대로 정보를 구성하는 구조로 바꿔가겠다는 계획을 내놓은 상태다.

김관규 교수는 “기본적으로 포털이 정보의 유통을 넘어 여론 형성의 방향성을 갖는 것은 옳지 않다”며 “포털사업자는 법적으로 문제가 될 때마다 책임이 없다고 주장하나 실질적 기능은 여론 형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만큼, 뉴스 아웃링크를 도입하거나 여론 형성 채널로서의 개념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면, 김성철 교수는 “댓글실명제, 아웃링크 도입보다는 악성ㆍ조작 댓글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선행된 후 네이버의 댓글 정책 개편, 댓글 어뷰징을 막는 기술적인 조치, 악성ㆍ조작 댓글러에 대한 사법적 처벌 강화, 이용자에 대한 교육 등이 모두 함께 가야한다”고 제언했다. 


네이버의 하루 방문자는 3000여만명, 이 중 뉴스 분야 이용자는 1300여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2017 한국미디어패널조사에 따르면, 뉴스를 볼 때 포털을 이용하는 비율(앱, 웹브라우저, PC 포함)은 78.1%에 달한다. 이는 전년 69.3%보다 증가한 수치다.

특히, 댓글이나 공감/비공감 등 타인의 반응은 이용자의 뉴스 소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이용자 관여가 언론사 가치 상승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포털 이용자의 84.3%가 ‘많이 본 뉴스’ 목록의 기사를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 많은 뉴스’ 목록의 기사를 보는 이용자가 78.4%, ‘댓글 많은 뉴스’ 목록의 기사를 보는 이용자도 75.2%에 달했다.

카카오 역시 포털 다음의 댓글 시스템 개편에 대해 고민하고 있으나 당장 개편안 발표 계획은 없는 상태다.

yun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