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올리타로 좌절? 한미의 신약개발은 ‘현재 진행형’
-한미, 미국 암학회에서 항암신약 3종 후보물질 공개
-항암신약 ‘포지오티닙’ 다른 암 치료 가능성 확인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 한미약품이 폐암신약 ‘올리타’의 임상 중단으로 신약개발 커리어에 오점을 남겼지만 지속적으로 신약개발에 열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미약품은 지난 14일부터 18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2018년 미국암학회(AACR)에서 신규 개발에 착수한 차세대 표적 항암신약 후보물질 3종을 공개했다고 19일 밝혔다. 

[사진=한미약품 본사]

항암신약 후보물질 3종은 차세대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HM43239), 차세대 간암 치료제(HM81422), 현재 표적 치료제가 없는 소세포폐암 치료제(HM97211)다.

먼저 차세대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치료제로 개발 중인 HM43239는 AML을 유발하는 FLT3 돌연변이를 억제하면서도 기존 FLT3 저해제의 약물 내성을 극복한 후보물질이다. 학회에서는 FLT3 돌연변이 메커니즘 및 AML 재발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알려진 백혈병 줄기세포(LSC)에 대한 억제효과를 규명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한미는 올 해 상반기 중 임상 1상에 진입한다는 계획이다.

차세대 간암 치료제 HM81422의 간세포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 안팎의 작용기전 및 항암 효과를 확인한 전임상 결과도 발표했다. HM81422는 FGFR4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차세대 간세포암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다. 간세포암은 가장 흔한 원발성 간암으로 전체 간암의 75~9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다른 후보물질 HM97211은 현재 표적 치료제가 없는 소세포폐암(SCLC)을 치료할 수 있는 항암신약이다. 한미는 전임상 연구에서 소세포폐암 항암효과 및 이에 대한 약력학 반응과 연관성을 보이는 바이오마커를 규명했다. HM97211은 암 억제 유전인자들을 방해해 암을 유발하고 기존 항암제에 저항성을 갖는 히스톤 탈메틸화 효소(LSD1)를 선택적으로 억제해 암세포 증식과 세포 사멸을 조절하는 기전을 갖고 있다.

한편 학회에서는 한미가 개발해 미 제약기업 스펙트럼에 기술수출한 내성표적 항암신약 ‘포지오티닙’의 HER-2 엑손20 유전자 변이에 대한 전임상 및 임상 데이터도 공개했다.

스펙트럼은 EGFR 엑손20 유전자가 변이된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진전된 임상 2상 결과와 HER-2 엑손20 유전자 변이가 발현된 양성 재발성 비소세포폐암 및 고형암 분야에서 치료 가능성을 확인한 임상 데이터를 발표했다. 특히 이번 연구 결과는 EGFR과 더불어 HER-2 엑손20 유전자가 변이된 두 가지 유형 모두에서 난치성 암 치료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향후 포지오티닙이 다양한 암종을 타깃하는 글로벌 혁신신약으로 개발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의미다.

권세창 한미약품 대표이사 사장은 “이번 포지오티닙 임상 결과들을 통해 난치성 암 치료 분야의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는 전기가 마련됐다”며 “포지오티닙이 글로벌 혁신신약으로 빠르게 개발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iks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