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애매하던 사당ㆍ도봉ㆍ수색ㆍ온수…서울시 ‘관문도시’로
경기도 접경지 12곳 종합재생
난개발 정리...테마 정해 개발
상반기 종합계획 후 사업추진

[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 개발도, 보존도 되지 못하고 어정쩡하게 방치돼온 서울과 경기도 접경지 12곳이 ‘관문도시’로 새롭게 탄생한다.

22일 서울시는 사당과 도봉, 수색, 온수 등 12곳을 ‘서울 관문도시’로 정해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도시계획을 세워 종합 재생한다고 밝혔다.


이들 지역은 1970년대 서울의 도시화 과정에서 무질서한 확장을 막고 자연환경을 보호한다는 이유로 개발제한구역과 시계경관지구로 지정돼 개발이 억제됐다. 하지만 체계적인 관리가 뒤따르지 않으면서 오히려 불법건축물이나 기피시설이 난립하는 등 방치돼 왔다. 매일 250만명의 출퇴근 인구가 오가고 연간 1억1300만 톤의 물류가 드나드는 서울의 관문이 50년 가까운 세월 동안 어두운 그림자로 소외돼 있던 것이다. 그나마 개발제한이 해제된 곳은 별다른 특색 없이 모두 주거지로 채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각 지역별 특색을 고려해 자연 보존이 필요한 지역은 확실하게 보존ㆍ회복하고 그렇지 않은 지역은 일터(일자리), 삶터(주거), 쉼터(문화ㆍ여가ㆍ복지)가 어우러진 거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올해 상반기 안에 종합계획(마스터플랜)을 세우고 이후 총 3단계로 사업지를 나눠 본격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1단계 사업은 동남권, 동북권, 서남권, 서북권으로 권역을 나눠 각 권역별 1개 지역을 선정, 균형을 맞췄다.


동남권에선 사당이 ‘청년을 위한 거점도시’로 조성된다. 사당역에서부터 남태령역까지 이어지는 사당 지역은 1970년대 문을 닫은 채석장이 방치돼 경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안전 우려도 제기돼 왔다. 현재는 레미콘공장과 자동차정비소 등이 들어서 있다. 

서울시는 사당 일대 유동인구의 절반 가량(42%)이 20~30대라는 점에 착안해 지식산업센터, 청년창업지원시설 등 총 2만8000㎡규모의 ‘일자리 인큐베이터’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또 청년ㆍ신혼부부 주택(200여 가구)과 문화ㆍ활동공간도 포함해 명실상무한 ‘청년특구’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채석장 폐쇄에 따라 흉물스럽게 남아 있는 산림 절개지는 산사태 예방을 위한 안정화 작업을 거친 뒤 공공조경공간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또 출퇴근 시간 교통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사당역 주변 저류조 상부에 ‘통근ㆍ통학 버스 전용 정류장’을 설치하기로 했다.

동북권에선 현재 폐기물처리장이 차지하고 있는 도봉 지역이 11만㎡규모의 체육ㆍ문화ㆍ생태도시도 새롭게 태어난다. 서북권과 서남권은 각각 수색과 온수 지역이 ‘첨단 철도물류 거점도시’, ‘문화와 자연이 함께하는 산업관문’으로 단장된다.

서울시는 수서역세권개발사업, 강일첨단업무단지 등 이미 개발사업이 진행 중인 접경지는 관련 기관과 협력해 관문도시의 기능까지 동시에 회복시켜 나갈 계획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관문도시 사업은 그동안 방치됐던 서울시 외곽의 소외지역을 지역 특성에 맞게 거점으로 육성하거나 자연성을 회복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