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가야사 조사연구, 가야가 개척한 일본서도 하겠다”
-잃어버린 가야사, 이제야 본격 연구 착수
-먼저 일본내 문헌연구 후 현장유적도 조사
-“늦었지만 다행”…'가야총서' 내년에 발간
-순천-함평-남원-장수까지 영호남 걸친 국가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늦었지만 다행.”

사국(四國)시대를 사국시대라 말하지 않고 삼국(三國)시대라고 한 것은 일제시대 이후 한국사학계를 지배하던 옛 주류세력들이 오래도록 가야를 배제했기 때문이다.

잃어버렸지만, 찬란했던 가야에 대해, 비로소 국가적 차원의 연구가 본격화한다.

김삼기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장은 7일 서울 중구 한국의집에서 김종진 문화재청장이 주재한 기자간담회에서 ‘가야가 일본의 문명을 일으키는데 선구자적 역할을 했다는 흔적이 큐슈 등에 많은데 일본 현지 조사도 하는가’라는 질문에 “내년 예산(230억원)에는 포함돼 있지 않지만, 연구가 진전되고 추가 예산이 배정되는 대로 현지 유적 조사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소장은 “현재로선 일본 현지 문헌 연구를 하고, 나중에는 큐슈 등지 현장 조사활동도 벌이겠다는 뜻”이라고 부연했다.

문화재청은 이날 ‘가야문화권 조사 연구와 정비사업’의 세부 계획을 공개했다.

가야연구의 현주소는 초라하다.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500개 가운데 가야 유적은 26개이고, 가야의 고분과 성곽 1천274건 중 발굴이 이뤄진 곳은 30.8%인 392건에 불과하다.

가야역사 재현극


김종진 문화재청장은 “신라, 백제와 비교해 가야 조사는 그동안 미흡했던 것 같다”며 “학술 조사를 통해 고증을 충실히 해서 가야 유적의 보존과 활용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이어 “가치가 있는 유적은 문화재로 지정하고, 이미 지정된 문화재는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정비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가야문화권 조사 연구 사업에 들어가는 예산은 내년에 비소로 생긴다. 가야문화권 유적의 실체를 규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충하고, 발굴과 정비 작업을 진행하는 데 32억원이 투입된다. 가야 유적 보수·정비 예산은 올해보다 20억원 증가한 145억원이 책정됐다.

수십년 이어진 신라와 백제에 대한 연구조사에서는 막대한 비용이 들어갔고, 내년 신라 관련 조사연구 예산도 400억원이나 되지만 가야는 230억원에 불과한 이유와 관련, 김 청장은 “지금까지 가야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도하지도 않았으므로, 이제 가야연구는 초기단계에 불과하며, 초기 단계에서 많은 예산을 투입할수는 없고, 차차 연구진척상황에 맞춰 늘려나가겠다”고 말했다.

‘가야사 복원을 위한 조사연구’는 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 가운데 하나이다. 연구진은 이 사업의 기초 자료가 될 ‘가야총서’를 내년 중 발간할 계획이다. 문화재청은 2019년까지 가야 유적 분포와 현황을 조사해 지도로 제작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또 유물의 현황을 파악해 훼손된 문화재는 보존처리를 지원한다.

문화재청은 가야사 연구와 정비 등 작업이 상당부분이 이뤄지면,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도 추진할 계획이다. 가야 고분군은 이미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된 상태로, 국내에서 등재 추진 대상으로 선정되면 2020년 이후 등재가 가능해진다.

가야의 영역은 지금까지 경남중심의 영남일대로 이해돼 왔지만, 최근 순천, 장수, 남원, 함평 등 호남지역에서도 꾸준히 발굴되면서 ‘영-호남에 걸치 세력’이라는 학설이 새로이 주목받고 있다.

문화재청은 금관가야의 왕궁 추정지인 김해 봉황동 유적의 발굴을 계속하는 한편, 전라도 동부에 있는 장수, 남원, 순천의 고분을 조사한다. 또 경북 고령과 경남 함안에 있을 것으로 짐작되는 대가야와 아라가야의 왕궁지를 시굴조사한 뒤 발굴조사로 확대할지를 결정할 방침이다.

아울러 가야문화권의 대내외 교류관계와 토기, 철기 같은 유물의 생산과 유통 체계를 연구한다.

김삼기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장은 “과거에는 가야 세력이 영남권에 집중된 것으로 인식됐다”며 “발굴조사가 추가로 진행되면 가야문화권의 영역이 비로소 규명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가야역사는 일제침략기 일본이 ‘정한론’을 정당화하기 위해 다양한 역사조작을 하는 과정에서 묻히거나, 왜곡된 임나일본부설(說) 등 주객이 전도되는 식으로 뒤집혀져 있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뜻있는 국민과 학계는 “뒤늦었지만 다행”, “친일-자주 등 이념적 장막을 걷고 실증적 연구가 되길 바란다” 등 다양한 기대감을 쏟아냈다.

ab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