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 조선업 ‘끊기 힘든’ 해양플랜트 유혹
- 유가 상승에 내년 해양플랜트 발주 증가 전망
- 높은 기술력…중국 저가수주 경쟁 피할 수 있는 시장
- 저조한 국산화율에 낮은 수익성 단점


[헤럴드경제=홍석희 기자] 한국 조선업계에 또다시 해양플랜트 화두가 던져졌다. 조선업계에 상당한 부실을 안겼던 해양플랜트 발주가 국제 유가 상승으로 내년에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속속 제기되면서다.

높은 기술력을 필요로 하는 해양플랜트는 한국 조선사들의 독무대로 평가된다. 하지만 낮은 수익성이 리스크로 꼽힌다. 실제 해양플랜트 장비 국산화율은 20%에 머물고 있다. 

[사진=삼성중공업이 11월초 건조를 완료해 출항시킨 에지나 FPSO]

5일 조선ㆍ해운 분석기관 클락슨 리서치에 따르면 2018년 전 세계 해양플랜트 사업 발주 규모는 16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해양플랜트는 해저에 매장된 석유, 가스 등을 탐사ㆍ발굴하는 장비다. 프로젝트 1개 규모가 조단위를 헤아리기 때문에 수주 경쟁도 치열하다. 올해 삼성중공업이 일찌감치 수주목표치를 채워넣은 것도 작년말부터 이어진 2기의 해양플랜트 수주가 올해초 결정됐기 때문이다.

유가가 안정적으로 움직이며 국내 조선사들은 내년 해양플랜트 시장에 큰 기대감을 걸고 있다. 두바이유와 브렌트유의 경우 올해 11월 이후 60달러선을 안정적으로 넘어서고 있고, 서부텍사스유(WTI)의 경우 올해 저점(47달러)대비 20% 넘게 오른 58달러 안팎에서 가격이 움직이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오일메이저들은 저유가 시대를 견디면서 유가가 50달러선만 넘어서면 채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체력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사진=LNG FPSO 개념도]

특히 해양플랜트는 중국과 경쟁치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조선업계로서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시장이다. 올들어 한국 조선사들은 중국에 고부가가치 선박으로 꼽히는 LNG선(야말프로젝트)에 이어 메가컨테이너선(CMA CGM) 시장까지 잠식당한 바 있다. 중국과 경쟁을 위해선 가격 경쟁을 벌일 수밖에 없는데, 이같은 출혈경쟁을 피할 수 있는 시장이 해양프로젝트란 점에서 국내 조선사들에게 해양플랜트 시장은 매력적이다. 이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 조선사들은 해양플랜트를 ‘미래 먹거리’로 제시해왔다.

관건은 낮은 국산화율 때문에 빚어지는 낮은 수익성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의 해양플랜트 기자재 국산화율은 평균 20% 수준으로 집계된다. 세부적으론 해양플랜트 시설의 폭발방지 안전설비 국산화율은 5%, 시추작업의 핵심인 드릴링 머신 국산화율은 15~20% 수준이다. 계장설비는 10~15% 정도고, 전기 패널류와 전동기 모터는 거의 전량 수입이다.

[사진=대우조선해양이 건조한 FLNG선]

통상 해양플랜트 설비 건조비 가운데 기자재 가격 비중은 평균 45% 정도다.10억달러 규모의 해양플랜트 설비를 수주했다면 4억5000만달러는 기자재 비용이고, 기자재 국산화율이 20%라는 의미는 나머지 80%에 해당하는 3억6000만달러의 장비는 수입해야함을 의미한다. 또 대부분의 해양플랜트 발주처는 특정 기자재 사용을 계약 조건으로 내민다. 장비 국산화가 성공했더라도 발주처의 요구 탓에 장비의 시장 진출이 쉽지 않을 수 있다. 여기에 작년부터 시작된 가혹한 조선업 구조조정의 시작은 해양플랜트 부실이었다는 점도 한국 조선업계엔 일종의 트라우마로 남아있다.

다만 지난달 ‘해양플랜트산업지원센터’가 준공된 것은 그나마 의미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정부는 또 오는 2022년까지 1조7340억원을 들여 거제해양플랜트 국가산단 건설도 계획중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수십년 이상 앞선 기술에다 시장진입 문턱도 높은 기자재 부문은 개별 조선사 입장으로선 넘기 어려운 벽”이라고 말했다.

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