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 지하철사고 2건 중 1건 ‘노후화’가 원인
서울 지하철 사고 2건 중 1건은 시설 노후화가 주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전동차 중 도입된 지 21년이 넘은 낡은 전동차가 절반에 이르는 등 시민들을 위협하는 상황이나, 서울시의 재정대책은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다.
17일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행정안전위원회, 서울 강동갑)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4~2017년(8월말 기준) 최근 4년 동안 서울에서 생긴 지하철 사고ㆍ운행장애(10분 이상 지연ㆍ연착) 건수는 모두 43건이다.
연도별로 보면 2014년 7건, 2015년 8건, 지난해 17건 등 매년 증가세다. 지난해와 올해에는 한 달 평균 1.4회로, 시민들은 한 달에 한 번씩 불편을 겪은 셈이다.
지하철 운행장애 건만 살펴보면 지연 시간별로는 10~30분 사이가 11건(61.0%)으로 가장 많았다. 1시간 이상 지연된 건도 2건으로 집계됐다. 호선 별로는 2호선이 17회(40.0%)로 가장 빈번했고 4호선 11회(25.5%), 3ㆍ 5호선이 각각 5회(11.6%) 등이었다.
서울시 교통정책과는 이런 지하철 사고ㆍ운행장애의 주요원인으로 차량 부품장애(32.6%), 신호설비 등 장애(20.9%)를 언급했다.
특히 근본 원인으로는 전동차 등 시설 노후화를 지목했다.
실제로 서울 지하철 내 전동차의 전체 평균 사용 연수는 18.8년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보면 1호선 21.4년, 2호선 19.3년, 3호선 13.3년, 4호선 23.1년, 5호선 21.3년, 6호선 17년, 7호선 16.8년, 8호선 20.2년 등으로 집계됐다.
상당수는 철도안전법의 지하철 내 전동차 기대수명인 25~30년에 거의 근접한 것이다. 연장사용을 평가할 시점이 된 21년 이상 낡은 전동차도 2018량(56.5%)로 전체 전동차의 절반이 넘는 상황이다.
지하철 안 전력 신호시설 등 장비 노후화도 진행되는 중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향후 노후화된 차량 및 시설교체를 지속하기 위해 2024년까지 추가적으로 2조 6758억원의 재정투입이 필요하나, 서울교통공사의 투자 사업비 대부분은 차입에 의존해야 하는 실정이라며 지자체와 도시철도 운영기관이 감당하기에 현실적인 한계가 있어 정부의 무임수송 손실보전과 국고보조금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또 투자재원 마련의 근거 마련을 위한 도시철도법, 노인복지법 법안이 발의 되어 있어 이 법안들이 개정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원율 기자/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