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창업열기 ‘찬물’ 끼얹는 최저임금 인상
인건비·부채에 허덕이는데…
직원 인건비까지 ‘삼중고’

산업 핵심축 기술창업 줄면
우리경제 신동력확보 더뎌져

역대 최대규모로 인상된 내년도 최저임금(7530원)이 최근 확산 중인 창업 열기에도 ‘찬물’을 끼얹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기업 유지비용 중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는 인건비가 폭증하면 수익성이 급감할 수밖에 없어서다. 손익분기점에 도달하기 전 ‘죽음의 계곡(Death Valley)’으로 추락하는 창업기업이 늘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런 가운데 일자리 창출과 산업혁신의 핵심축인 ‘기술창업’마저 줄어들면 우리 경제의 신(新) 성장동력 확보가 더뎌질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19일 헤럴드경제가 정부의 각종 창업기업 관련 통계지표를 종합·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창업기업의 연평균 투입자금은 평균 2억 2865만원이며, 이 가운데 27.1%인 6200만원이 인건비였다. 임차료(18.5%)나 재료비(26.7%)보다도 많은 금액이다. 최저임금 인상률(16.4%)을 단순 대입하면 연간 인건비는 총 7220만원으로, 1020만원가량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월평균 290만원, 이에 따라 연평균 3500만원에 불과한 창업기업의 당기순이익이 급감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창업기업이 손익분기점을 넘길 때까지 평균 8.3개월이 걸리는 것을 고려하면, 창업 1년 이내 조기폐업률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창업기업의 평균 부채비율이 166%에 이르는 가운데(부채 2억 5200만원·자본 1억 5200만원), 인건비 부담이 급증하면 재무 안정성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결국, 청·장년층의 창업이 내년부터 급감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로, 창업진흥원이 성인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6 창업인식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 60.3%가 경제적 수입을 창업 주요 고려사항으로 꼽았다.

“위험부담을 안고 창업에 나서기보다는 최저임금 근로자로 사는 것이 낫다”는 인식이 사회 전반에 확산할 수 있는 것이다.

문제는 4차 산업혁명 대응의 ‘역군’인 기술창업이 동반감소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앱 개발 관련 스타트업을 창업한 청년 A 씨는 “금융비용과 인건비, 임대료 등을 제하고 나면 대표인 나도 최저임금에 못 미치는 돈을 가져간다”며 “향후 몇 년간 인건비 부담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하니 창업한 것이 후회된다”고 말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새정부가 창업 활성화를 경제정책의 핵심으로 꼽으면서 오히려 창업부담을 늘리는 것은 정책적 모순”이라며 “창업기업에 대해서도 적절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슬기 기자/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