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 의무화…취준생 “오히려 역차별”
[헤럴드경제=윤혜정 인턴기자] “지방에서 공부해 인서울 했더니, 소용없네요. ”

지난 5일 고용노동부와 행정자치부 등이 공공부문 ‘블라인드 채용’ 추진 방안과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이달부터 모든 공공기관에서 의무화되는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에 ‘출신지역’, ‘가족관계’, ‘신체적 조건’, ‘학력’을 기재하지 않는 것이다. 이는 지난달 문재인 대통령이 공공부문 블라인드 채용 의무화를 지시한 데에 따른 후속 조치다. 

공공기관 입사지원서 예시(안)[사진제공=고용노동부]

이에 취업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취준생들의 의견 교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는 공감 하지만 ‘블라인드 채용’이나 ‘지역인재 채용 할당제’가 오히려 역차별을 불러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블라인드 채용’이 역차별이라는 취준생들은 대학 출신 또한 노력의 산물이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서울권 대학을 다닌다는 이유만으로 기득권이 됐다는 게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좋은 대학을 가야만 좋은 곳에 취업할 수 있다’는 어른들의 말에 고교시절 미친 듯이 공부해 대학을 왔더니 이제는 명문대 졸업장이 공평성에 어긋나는 차별 요인이 됐다며 이는 역차별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부는 선진국도 블라인드 채용을 활용한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인종이나 나이ㆍ성별 등 인권과 직결된 차별을 막기 위한 조치이다. 학력과 학점은 범주가 다르다는 것이다. 개인의 정당한 노력과 성취를 부정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이번 ‘블라인드 채용’을 반대하는 이들의 주장이다.

특히 이들은 특정 비율로 지역 출신을 뽑는 ‘지역인재 채용 할당제’의 모순을 지적했다. 취준생들은 이 제도가 ‘블라인드 채용’ 제도와 완전히 반대되는 제도라고 꼬집었다.

정부가 공개한 공공기관 입사지원서 예시에는 출신 대학의 지역을 쓰는 난이 있다. 이는 지방대 출신 취준생들에게 유리한 조건을 부여한다. 물론, 서울에 명문대가 밀집하고 청년들이 수도권으로 몰리는 비정상적 상황을 바로잡을 균형이 필요하다. 하지만 학력을 쓰지 말라는 ‘블라인드 채용’에서 학교 소재지를 작성하게 해 어떤 학교인지 알 수 있게 하는 것은 논리에 맞지 않다는 것.

중요한 것은 수도권에 몰려있는 능력 있는 취준생들을 각 지역으로 분산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지방대 출신 취준생을 지역인재로 뽑는 것과는 다른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이는 지역에서 수도권으로 진학한 대졸 취준생은 공공기관에 취업할 때 불리한 경쟁을 하고 반대로 수도권 출신인데 지역의 대학으로 진학한 학생은 공공기관 취업에 유리해지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객관적인 지표가 없는 자소서나 면접의 비율이 커지게 된 ‘블라인드 채용’에서 제대로 된 평가 시스템을 갖추어지지 않으면 ‘블라인드 부정’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청년 실업자 120만 명이 육박하는 심각한 취업난을 앓고 있는 현재, 취준생들은 나날이 발표되는 청년 실업률 지표에 무감각해진지 오래다. 이상적인 제도보다 현재 취업난의 근본적인 문제와 취준생의 어려움을 헤아리는 현실적인 채용 정책이 필요한 시기란 지적이다. 공정 사회에서는 어떤 차별도 역차별도 일어나서는 안된다는 것이 취준생들의 한목소리다. 

/yoon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