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문재인정부, 제약업계 영향은? ②] ‘난공불락’ 치매 치료제 개발 탄력 받을까
-문재인 대통령 공약 중 ‘치매국가책임제’
-치매지원센터 설립, 치매 의료비 90% 지원
-치매 치료제 개발도 활기를 띌 것으로 예상
-성공 확률 낮아 개발 쉽지는 않을 듯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 문재인 정부의 출범으로 후보 시절 내세운 공약의 실현 여부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는 가운데 ‘치매국가책임제’ 공약으로 치매 치료제 개발이 활기를 띨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치매 치료제 개발은 높은 기술력을 가진 다수의 글로벌제약사들도 여러 번 도전했지만 아직 개발에 성공하지 못한 난공불락의 영역으로 남아 있어 쉽지 않은 과제로 여겨진다.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 중 하나인 ‘치매국가책임제’는 한 마디로 국가가 치매 치료를 책임지겠다는 의미다. 이를 위해 문 대통령은 지역사회마다 치매지원센터를 설립하고 치매로 발생하는 의료비의 90%를 건강보험에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전국에 치매전문요양병원 설립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했다.

[사진=치매 관련 제약 이미지.]

문 대통령은 후보 시절 “치매는 다른 질환과 달리 환자 본인의 인간 존엄성도 무너질뿐만 아니라 온 가족이 함께 고통받는 심각한 질환”이라며 “치매만큼은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고 말해 왔다.

실제 문 대통령의 장모가 치매 환자로 알려져 문 대통령은 치매의 심각성을 몸소 경험한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 65세 이상 치매 환자 수는 약 72만명으로 파악되는데 이는 65세 이상 노인의 10.2%에 해당하는 수치다. 어르신 10명 중 1명이 치매 환자인 셈이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인구 고령화에 따라 치매 환자는 2025년 100만명을 넘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런 심각성을 파악한 문 대통령은 국가가 나서서 치매 치료를 지원해야 한다는 소신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제약사들의 치매 치료제 개발도 보다 적극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치매를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의약품은 없으며 치매의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제들만이 존재하고 있다.

한 제약업계 관계자는 “치매를 완전히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가 개발한다면 전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제약사가 될 것”이라며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치매 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치매 치료제 개발은 제약사로서 어렵지만 꼭 성공시키고 싶은 과제”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 해 미국의 다국적제약사 릴리는 자체 개발한 치매 치료제 ‘솔라네주맙’의 임상시험이 실패했다고 밝혔다. 화이자, 로슈, 노바티스, GSK 등 세계 유수의 제약사들도 치매치료제 개발에 뛰어들었지만 아직 성과를 낸 곳은 없다. 치매 치료제 개발은 1%의 가능성이라고 말하고 있는 이유다.

국내 제약사들도 치매 치료제 개발에는 나서고 있지만 아직은 초기 임상 단계에 머물고 있다.

동아ST는 2013년 ‘동아치매센터’를 설립하고 천연물 소재를 기반으로 한 치매치료제를 미국 하버드대 치매연구소와 공동 개발 중이다. 일동제약도 천연물에 기반한 치료제를 개발 중이며 동국제약은 1개월동안 약효가 지속되는 치료제 ‘도네페질 데포’를 개발하기 위해 식약처로부터 임상 1상을 승인받아 임상을 진행 중이다. 이 밖에 메디포스트, 지엔티파마, 대웅제약, 제일약품, 대화제약 등이 치매치료제 개발을 위한 초기 임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제약업계 관계자는 “새 정부의 보건의료 정책 중 핵심이 치매국가책임제인만큼 치료제 개발에도 정부의 지원이 전폭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다만 치매 치료제 개발은 아직까지 성공 사례가 없을 만큼 매우 어려운 분야여서 당장 뚜렷한 성과가 나오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iks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