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지능의 영역 총망라, 종합보고서
1년전, 구글의 알파고가 바둑의 최강자 이세돌 9단을 이긴 사건은 멀고 막연했던 인공지능이란 개념을 코 앞으로 바짝 다가오게 만든 사건이다. 미래학자들은 2040년께면 인공지능이 인간의 뇌를 따라 잡는 상황, 즉 ‘기술적 특이점’이 올 것으로 예견한다. 인간의 뇌가 100조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중앙처리장치와 유사한 성능을 갖고 있다고 할 때, 대략 30년 정도가 지나면 일상적인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의 성능이 인간의 뇌와 비슷한 수준에 도달할 것이란 예측이다.


그럼에도 기계가 자율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SF의 이야기가 과연 현실화할지는 미지수다. 이대열 예일대 신경과학과 석좌교수는 저서 ‘지능의 탄생’(바다출판사)에서 인공지능의 문제해결 능력은 인간의 요구에 특화돼 있다는 점을 들어 그런 날은 쉬이 오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인공지능의 문제풀이는 그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인공지능 개발자의 요구에 따른 것으로 인공지능을 개발한 인간의 지능의 표현일 따름이다. 이 교수에 따르면, 인간은 인간의 뇌가 어떻게 정보를 처리하고 저장하는지 전모를 알지 못한다. 그렇기에 인간을 닮은 인공지능 뇌를 만드는 건 불가능하다. 지능을 다루는 영역은 흔히 문제해결능력을 평가하는 부분에서 이뤄져 왔으나 최근에는 행동심리학 및 생물학, 뇌과학, 인공지능까지 광범위하게 퍼져있다. ‘지능의 탄생’은 이 모두를 포괄, 최신 연구성과까지 담아낸 지능에 관한 종합보고서라 할 만하다.

특히 RNA로부터 DNA와 단백질의 기능분화 등 생명의 진화과정에서 지능이 어떻게 출현했는지, 뇌와 같은 신경계가 어떻게 진화할 수 있었는지 지능의 관점에서 풀어내 흥미롭다. 

이윤미 기자/mee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