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공분야 고용주’정부를 보는 시각따라 정책 차별화
문재인·이재명은 큰정부
안희정은 ‘작은정부’
안철수는 ‘혼합형’ 지향


대권주자들이 속속 일자리 정책을 내놓고 있다. 22일까지 고용 확대 정책의 방향을 체계적으로 내놓은 주요 대권주자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문재인 전 대표와 안희정 충남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그리고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다. 이들의 견해 차이는 곧 정부를 바라보는 시각 차이다.


정부주도형 vs 기업주도형=문 전 대표와 이 시장은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하는 ‘정부주도형’ 혹은 ‘큰정부론’ 지향이다. 문 전 대표는 정부와 공공기관의 직접 고용을 늘려야 한다는 데 주안점을 뒀다. ‘정부 고용주론’이다. 노동3권과 노동자보호가 정부의 최우선 임무라는 것이다. 반면 안 지사와 안 전 대표는 고용창출은 기업이 주도하고 정부는 이를 지원하는 ‘작은정부론’에 가깝다. 안 지사는 정부의 역할을 ‘시장의 공정한 심판관’이라고 했다. 정부를 고용주체나 감독ㆍ감시자가 아닌 ‘조정자’로 규정했다. 안 전 대표는 기업의 투자와 경제 활성화를 지원하고 유도하는 ‘가이드’로서의 정부 역할을 제시했다. 문 전 대표의 ‘큰정부론’에 대립각을 세웠지만 실제 각론을 보면 고용주체ㆍ감시자로서의 정부 기능을 일부 수용한 ‘큰정부 작은정부 혼합형’이다.

文 ‘일자리 위원회’ 安 ‘수도권ㆍ지방 전국 균등발전’ 安 ‘국가임금직무혁신위’ 李 ‘근로감독관 확대’=문 전 대표의 정부 주도형 일자리 창출 정책이 집약된 것이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및 청와대 내 일자리 상황실 설치와 소방관, 교사, 사회복지, 경찰 등 공공기관 일자리 81만개 창출 공약이다. 안 지사의 일자리 정책 중 다른 주자들과 가장 차별화된 것은 ‘수도권-지방 균등 발전으로 인(in) 서울 선호현상을 바꾸겠다’는 공약이다. 행정수도 세종시 이전과 지방분권 등의 정책과 맥이 닿는 정책이다. 안 전 대표의 경우는 “일자리위원회와 일자리 상황실을 설치한다고 무엇이 달라지겠느냐”며 문 전 대표의 공약을 비판한 것이 눈에 띈다, 안 전 대표는 정부의 고용정책의 최우선 기조를 ‘일자리 질적 개선’에 뒀다. 임금격차를 줄일 ‘국가임금직무혁신위원회’ 설치 공약이 두드러졌다. 이 시장은 노조조직률을 높이고(10%→30%), 근로감독관을 현행 1300명 수준에서 1만명으로 늘리며, 대기업ㆍ공기업에 노동자 이사제를 두겠다고 했다.

공공고용 추가ㆍ노동시간 단축은 공통…모두 ‘맹점’도=문 전 대표는 공공기관 일자리 81만개 창출을 내걸었지만, 다른 주자들도 규모의 차이만 있지 공공부문에서 추가 고용이 필요하다는 데 대해서는 한 목소리다. 노동 시간을 52시간이나 40시간으로 줄이고, 육아 여성 등을 대상으로 한 유연근무제를 도입하겠다고 한 점도 대체로 공통적이다. 문 전 대표와 안 지사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을 목표로 내거는 등 불합리한 임금격차를 줄이겠다는 정책도 모든 주자에게서 빠지지 않았다.

그러나 각 주자의 일자리 정책의 맹점도 적지 않다. 문 전 대표의 ‘큰정부’ 지향은 재원조달 계획과 현행 공무원ㆍ공공기관 고임금 구조 개혁이 빠졌다. 안지사는 고용정책은 ‘기업 지원 정책’과 ‘대-중소기업 공정거래 정책’에 더 가깝고 이마저도 포괄적이다. 이 시장의 고용정책은 이와 반대로 사실상 노동자 권익 보호 정책이다. 기업 규제가 강화될 수 밖에 없다. 안 지사는 4차 산업 혁명 등 기업 성장 지원을 최우선 기조로 내걸었음에도 국가 차원의 신규 위원회 설치와 제도 도입 등 정부의 역할을 강조한다는 모순이 지적된다. 

이형석 기자/suk@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