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4년만에 2%대 상승, 물가에 비상등 켜졌다
위태위태하던 물가에 결국 비상이 걸렸다.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2.0% 올랐다. 의식주 생활물가는 더 큰 폭으로 뛰어 2.4%에 달한다. 각각 4년 3개월, 4년 11개월 만에 최고치다. 어느새 익숙해진 0%, 1%대 상승률에 비해 2%대의 수치는 충격적이다.

이번 물가 비상은 ‘달걀 대란’ 여파가 고스란히 반영되면서 농수축산물가가 급등(8.5%)했고 유가 반등으로 석유류 가격 상승(8.4%)도 한 몫을 한 탓이다. 그나마 정부가 요금체계 개편과 인상 시기 조절에 나선 전기ㆍ수도ㆍ가스 요금이 8.3% 하락하며 전체 물가를 0.35%포인트 끌어내리는 역할을 했으니 이 정도다. 이마저 없었으면 곧바로 2% 중반을 넘어 3%선까지 위협할 뻔 했다.

문제는 앞으로도 오를 일만 남았다는 점이다. 도처에 상승 압력들이다. 전 분야에서 상승 방향은 이미 기정사실이고 그 폭과 시기만이 달라질 뿐이다.이미 소비자 물가의 선행지표 격인 생산자물가는 벌써 5개월째 상승행진중이다. 지난해말에는 1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그건 고스란히 소비자물가로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유가나 원자재 가격은 이미 상승분이 반영 단계에 들어갔고 그동안 저물가에 많은 영향을 미쳤던 금리도 미국의 동향에 따라 올라갈 게 분명하다. 400조원에 달하는 수퍼예산도 인플레를 자극하는 데 집행시기도 연초와 1/4분기에 집중돼 있다. 경기부양을 위한 불가피한 재정정책이지만 물가자극 요인임을 부정할 수는 없다.

정부도 이같은 분위기를 익히 감지하고 있다. 유일호 경제팀이 지난달 19일 경제현안점검회의에 물가관계장관회의란 명칭을 덧붙이고 2일 회의에서도 물가를 주요 주제로 대응책을 논의한 것도 그런 이유다. 하지만 대책이 마땅치 않다. 정부 비축 물량을 푸는 것은 한계가 있다. 사재기와 담합 등 불공정 행위에 대한 감시활동을 강화하고 지방 공공요금의 인상자제도 요구했지만 구두선에 가깝다. 억누른다고 될 일이 아니다. 나중에 한꺼번에 터져나오면 더 급격한 물가상승을 불러와 충격이 한결 커진다.

근본적인 해결책은 생산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의 유통구조 개선이다. 채소값 폭등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품목만 다를 뿐 매년 반복되고 있다. 복잡한 농산물 유통단계를 줄여 산지에서 소비자까지 최적의 물류가 일어나도록 하는 일이 가격 안정에 최선이다. 가장 먼저 농축수산물에서 시작해 이동통신 단말기까지 유통 개혁이 절실하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