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데이터 랩] 北 사이버 요원 6000명…중학교부터 年500시간 해킹 교육
대학 진학후 3~5년간 집중교육
中기업 위장취업 주요기관 해킹
2013년엔 금융서비스 마비 시키기도

유사시 우리군 무기·군수체계 무력화
최근 北소행 추정 국방망 해킹 ‘충격’


인류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전쟁도 변화해왔다. 고대 보병 중심의 전투는 산업혁명을 거치며 화력과 기동력을 중심으로 한 플랫폼 중심(PCWㆍPlatform Centric Warfare) 양상으로 변모했다. 현재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을 통한 통합 네트워크전(NCWㆍNetwork Centric Warfare)으로 흘러가고 있다.

서로를 파괴하고 목숨을 앗아가는 그것을 발전이라 부를 순 없지만, 그에 대응해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은 분명 진일보해왔다. 



상대방의 전략, 전술, 무기체계에 맞선 선제적 파악과 이를 무력화시키는 노력은 현대전의 핵심이다. 그 중심에 정보 획득과 처리, 지휘통제의 신속함을 뒷받침하는 사이버 군사안보 능력이 있다.

최근 북한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군 내부 전용 사이버망(국방망) 해킹은 이 같은 맥락에서 창군 이래 최악의 재앙으로 꼽힌다. 해킹 세력은 외부 인터넷망과 내부망(국방망)을 잇는 백신중계서버의 보안 취약점을 파고들어 악성코드를 유포, 기밀 내용을 빼내간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얼마나 많은 정보, 민감한 작전계획이 빼돌려 졌는지 알 수가 없다는 것이다. 최악의 경우 우리 군 체계와 작전계획을 전면 재검토해야 하는 국면을 맞을 수도 있다.

북한의 사이버 공격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2009년 7월 청와대와 국회 등 핵심 국가기관 전산망에 디도스 공격을 가한 것이 공식적인 북한의 첫 사이버 공격이다. 2013년 금융서비스가 일시적으로 마비된 것은 북한의 사이버 공격이 국민에게 직접적인 위협으로 다가온 예다.

북한은 간첩양성, 요인테러 등 대남 도발을 총괄하는 정찰총국이 사이버 공격도 전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얼마나 많은 인력이 길러지고 배치됐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2013년 남재준 당시 국정원장은 북한에 7개 해킹 조직이 있으며 요원은 1700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지원조직까지 합치면 6000명을 웃돈다고 덧붙였다. 국방부는 북한 사이버 요원이 60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사이버전은 재래식 무기를 사용한 전쟁과 달리 인력의 수가 아닌 질에 좌우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것은 얼마나 체계적으로,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인력이 양성되느냐다. 김 위원장은 “사이버전은 핵ㆍ미사일과 함께 인민군대의 무자비한 타격능력을 담보하는 만능의 보검”이라고 말했다.

북한 사이버 요원들은 평양 과학영재학교인 금성 1, 2중학교에서부터 연 500시간의 컴퓨터 집중교육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후 ‘미림 대학’이라 불리는 총참모부 산하 ‘지휘자동화대학’이나 모란봉대학에서 3~5년간 교육을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김 위원장은 “용맹한 (사이버) 전사들만 있으면 그 어떤 제재도 뚫을 수 있고, 강성국가 건설도 문제 없다며 한껏 치켜세우기도 했다.

북한이 이처럼 사이버전력을 전략적 무기로 적극 활용하는 이유는 비용대비 효과가 신속하며 파급력이 크기 때문이다. 또 물리적으로 직접 침투할 필요 없이 은밀하게 이뤄질 수 있어 설사 발각되더라도 남한이나 서방으로부터 원점타격을 받을 염려도 적다.

특히 북한 해커들은 중국 기업에 ‘위장 취업’해 지령이 있을 때만 해킹 공격에 나서는 것으로 의심된다. 때문에 비록 북한의 소행으로 강력하게 의심되거나 충분한 증거가 발견되더라도 중국이라는 제3국과 관계가 문제될 수 있다.

북한은 이를 통해 평상시에는 정보 우위를 점하다 전면전이 발생할 경우 일차적으로 정보망을 공격, 미군 지원을 지연시키고 이차적으로 우리 군의 C4I체계를 타격해 무기 및 군수지원 체계를 무력화시키는 것을 노리고 있다.

다만 북한의 사이버 능력이 어느 수준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2013년 사이버 공격을 기점으로 북한 사이버공격 능력에 대한 대내외적 우려는 확연히 커졌다.

제임스 셔먼 전 주한미군 사령관은 북한 사이버전력을 미국, 이스라엘 수준으로 평가하기도 했다. 마이크 로저스 전 미 하원 정보위원장 역시 미국에 사이버공격을 감행한 가능성이 있는 주요 위협 국가 가운데 하나로 북한을 꼽았다.

이처럼 북한의 사이버 공격이 점차 고도화되고 잦아지면서 우리 군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크다. 옥도경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 자문연구원(전 국군사이버사령관)은 지난달 ‘사이버전 역량 강화 정책 연구’ 논문을 통해 사이버전력을 육ㆍ해ㆍ공군과 함께 제4군으로 키워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기도 했다.

김우영 기자/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