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도시의 고민…인구 주는데 아파트 늘고
주택·직장 등으로 젊은층 이탈
인천뺀 5대 광역시 순이동자 증가

부산 등은 신규 아파트 과잉공급
도시 정체·쇠퇴 악순환 현상 우려



350만명이 사는 한국 ‘제2도시’ 부산의 고민은 ‘인구 사수’다. 수년째 도시를 떠나는 사람이 줄지 않아서다. 부산 인구는 한때 400만명을 바라보기도 했다.

최근 부산복지개발원이 부산시민 515명을 대상으로 ‘10년 내 부산이 당면할 이슈’를 물었다. 절반을 넘는 시민들이 ‘인구감소ㆍ저출산ㆍ고령화’를 꼽았다. 초의수 부산복지개발원 원장은 “인구절벽이 경제절벽, 고용절벽을 초래하고 도시 정체와 쇠퇴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드러났다”고 했다.



인구 지키기는 부산만의 당면과제가 아니다. 대구, 울산, 광주, 대전 등의 대도시들도 인구 유출을 고민한다. 하지만 이런 추세와 반대로 새로 들어서는 아파트는 늘어만 간다. 신규 주택은 인구를 다시 끌어들이는 요인으로 보는 낙관적 시각이 있지만, 동시에 입주 뒤에도 빈 채로 남겨진 아파트를 우려하는 전망도 만만치 않다.

6일 통계청 인구통계에 따르면 작년부터 올해 10월까지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등 광역시 순이동자수(전입자-전출자)는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사 온 사람보다 빠져나간 사람이 더 많았다는 얘기다.

대전이 -2만9000여명으로 유출인구가 가장 많았다. 이어 ▷부산(-2만8900여명) ▷대구(-2만800여명) ▷광주(-1만3900여명) ▷울산(-5800여명) 순이다. 전북(-8600여명)과 경북(-3400여명)도 전출자가 많았다.

사실 부산과 대구의 인구유출 이슈는 2000년대 초반부터 불거졌다. 문제의식이 커졌고 2010년을 넘어서자 다른 광역시들도 이 대열에 합류했다. 대전에서는 주민 상당수가 인접한 세종시로 옮긴 것으로 분석된다. 조선ㆍ해운업 구조조정 직격탄을 맞은 울산을 떠나는 인구도 늘어났다.

그런데 사람은 점차 줄고 있는데, 새 집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늘어간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에서 올해 새로 공급된 아파트는 6만4314여가구(예정물량 포함)다.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인데, 2000~2014년 15년간의 연평균치(5만7000여가구)보다는 많다.

부산에선 올해 2만4245가구, 작년에 2만1551가구가 공급됐다. 과거 2000~2014년 연평균 물량인 1만8000여가구보다 많다. 광주, 울산, 대구도 최근 2년간 공급물량이 과거 평균을 웃돌거나 비슷하다. 



새 아파트 대부분은 도시 외곽에 조성되는 혁신도시나 산업단지에 몰려 있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팀장은 “향후 2년간은 입주물량이 크게 늘어 지역별로 공급과잉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들 지역의 주요 유출 계층이 20~30대 청년층이라는 사실은 심각한 문제다. 대구경북연구원에 따르면 2000년대 중반 이후 대구를 떠난 인구의 절반 이상이 청년층이었다. 이는 다른 대도시도 비슷하게 겪는 상황이다. 장기적으로 지역경제를 책임질 청년층의 감소는 주택시장을 비롯한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연구원 관계자는 “대구를 비롯한 대도시 외곽에 혁신도시, 산업단지 등의 개발 프로젝트가 추진되며 아파트가 많이 들어섰는데 여기로 전입한 인구는 타지역 거주자보다는 기존 주민이 많다”고 설명하며 “인구 확보 없는 아파트 공급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박준규 기자/ny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