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헤럴드포럼] 해양생물 다양성, 그 어울림의 가치
‘갖가지 꽃이 어울려 피어야 아름다운 정원을 이룬다’는 속담이 있다. 자연을 따라 만든 영국식 정원에는 다양한 꽃과 나무, 수풀이 무심코 어우러져 있다. 이러한 정원의 다양성은 벌, 나비와 새들을 불러들인다. 필자는 놀이동산의 인공적인 정원보다는 영국식 정원처럼 자연을 살린 정원을 선호한다. 자연의 생물다양성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생물다양성이란 생물종 및 유전자 특성의 다양성, 생태계 요소의 다양성을 뜻하는 말이다. 미생물을 제외하고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기록된 생물종은 164만여 종으로, 이 중 해양생물은 22만8000여 종이다. 최근 연구 논문에 따르면 해양생물 종수는 220만여 종으로 추정되고, 인류는 전체 해양생물의 90%를 아직 알지 못하는 셈이다.

지난 반세기 동안 산업화, 도시화 등 개발사업,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한 생태계 및 생물 서식처 파괴로 전체 생물종의 약 50%가 멸종되었다고 한다. 국제사회는 1972년 유엔환경개발정상회의(UNCED)에서 생물종의 감소 및 환경문제 논의를 시작했으며, 1992년부터는 생물다양성협약(CBD)을 통해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의 보전 등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그런데 해양은 모든 나라를 하나로 연결하기 때문에 우리만 노력한다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이에 국제사회는 해양부문의 새로운 규범형성을 위한 논의를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1997년부터 국가생물다양성전략을 수립하는 한편, ‘보호대상해양생물 보전계획’도 세웠다. 해양생태계 조사 및 장기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해양보호구역을 지정하는 한편, 점박이물범, 붉은발말똥게 등 보호대상종도 확대하고 있다.

한편, 해양환경보호와 수산자원분야의 공조도 매우 중요하다. 불법어업, 남획 등으로 어족자원이 고갈되면 해양생태계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생물다양성을 훼손하고, 이는 수산물 생산량 감소를 야기한다. 한 번 파괴된 해양생태계는 복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국제사회에서도 지속가능한 해양환경을 고려한 수산업 규제 움직임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CBD사무국과 공동으로 26일부터 29일까지 나흘간 서울에서 해양환경과 수산분야 간 정보공유, 시너지 창출 및 협력 강화를 위한 ‘세계 해양-수산 국제기구 포럼’을 개최한다. 국제해사기구(IMO), 국제농업식량기구(FAO)를 비롯한 30여개 해양ㆍ수산분야 국제기구 전문가들이 함께 생물다양성 목표(아이치타겟, 2011-2020)의 효과적인 달성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지금 우리가 직면한 ‘텅 빈 바다’를 온전히 되돌리기 위해서는 해양생태계와 수산자원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전 지구가 지식과 경험을 나누고 해양환경과 생물다양성에 대한 철학을 공유해 나가야 한다. (찰스 클로버 ‘텅빈바다’ 인용)

올해는 해양수산부가 주창한 해양르네상스 시대의 원년이다. 지금의 해양환경과 수산의 조우가 미래세대에 우리 해양의 참모습을 전달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본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