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민족혼ㆍ국보 품은 박물관 대부분 ‘내진’ 낙제점
[헤럴드경제=함영훈기자] 국립 도서관과 박물관, 미술관 상당수에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아 지진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교육문화관광체육위 소속 김병욱 의원은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등 문체부 소속 또는 산하 주요기관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25일 밝혔다.

2008년과 2013년에 각각 건축된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서울 서초구), 국립세종도서관(세종시)은 내질설계가 적용됐다.

그러나 1988년 건축된 국립중앙도서관 본관과 2000년 만들어진 자료보존관, 1981년 세워진 서울 강남구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은 내진 설계가 적용되지 않았다. 국립중앙도서관은 1065만 점의 장서를 보유한 국가지식정보자원의 보고이다.

전국 14개 국립 박물관 중 내진설계가 적용된 곳은 2005년 완공된 서울 용산의 중앙박물관과 공주,김해,제주,춘천,나주 등 6곳에 불과했다.

나머지 8개 박물관은 건축물 전부 또는 일부가 내진설계 적용이 되지 않았다.

국립경주박물관. [사진=함영훈 기자/abc@heraldcorp.com]

지난 12일 지진으로 신라역사관 외부 유리창 4장이 파손되고, 건물 외벽의 타일이 일부 떨어지는 피해를 입고 이튿날 하루 유물 정밀조사를 위해 휴관하기도 했던 국립경주박물관의 경우 (신라)미술관(2002년 건축)을 제외한 고고관(신라역사관, 1975년)․특별전시관(1975년)․안압지관(월지관, 1983년) 등 5개 건축물에는 내진설계 개념이 반영되지 않았다.

경복궁 담 안에 있는 국립고궁박물관 역시 내진설계가 되어있지 않다. 고궁박물관은 2005년 국립중앙박물관 후생관 건물을 개증축하여 개관했다.

1993년 국립중앙박물관 청사를 물려받아 이전 개관한 국립민속박물관도 내진설계가 되지 않았다.

이에 비해 2013년 지어진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과 2012년 만들어진 광화문 경희궁 옆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내진설계가 반영돼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측은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건축물에 대해서는 내진성능평가를 거쳐 내진보강을 했기 때문에 진도 5.5 내외의 내진성능을 확보했다고 해명했다.

김의원은 “이번 경주지진의 진도가 5.8에 달하였고 2005년 이후 정부의 건축물에 대한 내진설계 규정도 진도 6~7 수준을 견디도록 바꾸었다는 점에서 앞으로 정확한 실태 점검과 종합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과천 국립현대미술관은 2013년 건립된 서울관을 제외하고 덕수궁관(1938), 과천관(1986) 모두 내진설계가 되지 않아 보강공사를 추진 중이다.

국립중앙극장은 2008년 건축된 KB하늘극장을 제외한 본관동(1973년 건축), 별관동(1967), 기계동(1973)이 모두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았다. 상설 전통예술 공연장인 정동극장(서울 중구, 1995), 오페라와 음악 공연장 및 미술관 서예박물관 등을 갖춘 예술의전당 5개 건물(1988~1993)도 모두 내진설계가 되지 않았다.

김 의원은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이 드러난 마당에 한국사회의 현재와 과거를 고스란히 간직한 수장고라 할 수 있는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등이 지진 위험에 노출되어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진도 6.0 이상의 강력한 지진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을 전제로 종합적인 실태 점검과 중장기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ab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