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세상속으로-KAIST 교수] 4차 산업혁명과 고령사회, 온 국민의 지혜 모아야
대한민국은 지금 두개의 초대형 쓰나미에 맞닥뜨렸다. 바로 4차 산업혁명과 고령사회다. 그런데도 우리 사회는 한가한 편이다. 이 두 쓰나미의 파괴력과 상호작용에 대한 복합적이고도 면밀한 분석이 미진하기 때문이다.

양자는 우리 사회에 어떤 충격을 가져올 것인지 한번 살펴보자.

4차 산업혁명은 ‘생산혁명’과 ‘분배혁명’이라는 모습으로 다가올 게 뻔하다. 4차 산업혁명 쓰나미의 제1파인 생산혁명은 인공지능과 로봇을 대표로 현실과 가상이 융합하는 거대한 O2O 초생산 혁명을 이룩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 결과 현재 일자리의 상당수가 사라질 것이란 전망이다. 즉, 4차 산업혁명의 첫번째 우려는 일자리 부족이라고 할 수 있다.

고령사회는 세계 최저 출산률과 고령화에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로 가속도가 붙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의 고도성장을 이끈 베이비붐 세대 은퇴가 시작되면서 전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하는 중이다. 그 결과 많은 사람들이 숙련인력 부족을 우려하고 있다. 즉, 고령사회의 첫번째 우려는 숙련된 일할 사람의 부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 두가지 쓰나미를 조합해 보자. 4차 산업혁명은 일자리를 줄이고, 고령화는 일할 사람을 줄인다면 이 두 개의 쓰나미는 상승효과가 아니라 상쇄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우리가 4차 산업혁명을 통해 초생산성 혁명을 이룩하는데 성공한다면 고령화에 따른 숙련인력 부족 문제는 로봇과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의 기술로 해결된다는 시나리오가 가능해진다.

미래는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바람직한 상상을 디자인하는 것이라고 미래학에서 말하고 있다. 그렇다면 인간과 인류 그리고 우리 대한민국의 바람직한 미래는 무엇인가. 우선 피할 수 없는 외부환경은 고령화와 4차 산업혁명이다.

우리는 이 두가지 변수의 조합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조합을 찾아 국가 미래전략 설계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

우선 4차 산업혁명의 1단계인 생산혁명을 위한 국가 혁신에 총력을 모아보자. 2030년으로 예상되는 초고령사회 진입 이전에 초생산 체계를 이뤄낼 수 있다면, 일자리부족과 인력부족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동시에 만들어질 것이다.

그 이후에 4차 산업혁명의 2단계인 분배혁명을 완결할 수 있다면 1차 한강의 기적을 이룩한 선배님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세대가 될 것이다.

향후 15년 간은 국가 혁신역량 강화에 온 국민의 힘을 모아야 한다. 과학기술, 경제, 인문 모든 분야가 추격자전략에서 선도자전략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사상 초유의 과제다. 선도자전략의 핵심 화두는 투명개방, 민간주도, 실패지원, 공정거래가 될 것이다.

상상력을 조금 더 발휘하면, 보건의료기술 발달에 따른 고령화발 인구폭발을 막기 위한 생명체로서의 ‘가이아(GAIA) 지구’의 대응이 인류의 저출산 유도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저출산은 다양한 이유가 있으나 전 세계적 현상이다. 이는 생명체의 진화법칙에 명백히 배치된다.

인류는 이제 개체로서의 생명을 떠나 아바타 영화의 판도라행성과 같이 지구 차원의 생명체로 진화하는 단계를 대한민국이 ‘초생명사회’ 구현으로 선도해보자는 생각도 하게 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