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그많던 낙동강 물고기 다 어디로 갔을까
[헤럴드경제] 낙동강 일대에 물고기가 자취를 감추고 있다. 녹조현상이 심해지면서 낙동강은 ‘녹조라떼’를 넘어 ‘잔디밭’으로까지 불릴 정도다. 환경 당국은 폭염에 따른 수온 상승을 탓하지만, 주민들과 환경단체들은 과거 이명박(MB) 정부 시절 추진된 4대강 사업을 원흉으로 지목하면서 공방을 벌이고 있다.

지난 26일 국회에서 열린 조경규 환경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도 ‘낙동강 물고기 논란’이 일었다. 이상돈 국민의당 의원이 “한 나라의 하천이 살았는지, 죽었는지에 대해 어떻게 알 수 있느냐. 바로 물고기다. 낙동강에 물고기가 있느냐”고 묻자 조 후보자는 “전체적으론 아니지만, 부분적으론…”이라고 우물쭈물하며 진땀을 뺐다.

같은 날 낙동강 어민들은 녹조 실태를 파악하러 경남 창녕군 길곡면 소재 창녕함안보를 찾은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에게 곳곳에 보가 생긴 뒤 그많던 잉어, 붕어가 자취를 감추었다고 분통을 터뜨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달 들어서도 낙동강 지천인 경북 성주군 백천에서 잉어, 붕어, 동자개 등 물고기 130여 마리가 집단 폐사했다. 지난해 7월에도 이곳에선 물고기 1500여 마리가 떼죽음을 당한 바 있다. 

대구환경운동연합은 최근 심해진 녹조현상과 물고기 떼죽음 등은 모두 4대강 사업의 부작용이라며 강을 살리려면 4대강 보를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희섭 한국어촌사랑협회 사무국장도 4대강 사업후 조업 포기를 할 정도로 낙동강 생태계가 나빠졌다고 말했다.

급기야 지난 25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 환경단체들은 4대강 사업에 대한 청문회 개최를 요구하고 나서기도 했다. 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청문회를 열어 이명박 전 대통령을 비롯해 4대강 사업을 지휘했던 이들과 4대강 수질 악화를 방치하고 있는 박근혜 정부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대구환경청은 최근 백천 일대 물고기 폐사 원인으로 수온 상승 등으로 서식환경이 변했기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 민물에 사는 물고기는 보통 26도까지 견디는데, 사고지점 수질을 측정한 결과 수온이 34도로 나왔다는 것이다.

청 관계자는 “수온이 높은 상태에서 낮과 밤의 용존산소 차이가 크면 물고기에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수온 상승으로 어류 생존 한계치를 넘은 것같다는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조사 중”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2006년 4대강 사업 사업을 시작하면서 두 차례 어업 보상을 했고, 올 9월이면 낙동강 생태계가 회복돼 옛날만큼 고기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어민들을 달래왔다. 

하지만 이같은 정부의 주장은 거짓말이 될 공산이 크다. 수질 악화로 낙동강 씨가 말라 다음달에 지금보다 더 많은 고기가 잡히는 건 기대하기 어렵다는 게 어민들의 주장이다. 그나마 지금은 강준치, 블루길, 배스 등 외래어종만 잡히는데, 이 마저도 여의치 않을 것으로 어민들은 예상하고 있다.

어민들의 분노에 수자원공사 측은 “어업피해에 대한 보상은 완료된 것으로 안다”, “낙동강 생태계는 곧 회복된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onlinenews@heraldcoro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