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장기이식 대기자 2만7000명으로 급증, 기증자는 2600명 제자리걸음
[헤럴드경제=김대우 기자]장기 기증자가 나타나기만을 기다리는 ‘이식대기자’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장기 기증자는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2015년 이식대기자 수가 2만7444명, 장기 기증자 수는 2565명으로 집계됐다고 25일 밝혔다.

이식대기자 수는 2011년 2만1861명, 2013년 2만6036명 등으로 빠르게 증가했으나 장기기증자 수는 2011년 2497명, 2013년 2442명 등으로 턱없이 부족했다. 기증자의 이식 건수도 2011년 3798건, 2013년 3821건, 2015년 4107건 등으로 대기자 수와 비교하면 한참 부족한 상황이다.


장기기증은 뇌사자 기증, 생존자 기증, 사후 각막기증 등 3종류로 나뉘는데, 한국은 뇌사자의 장기기증 수가 부족한 편이다.

일반적으로 뇌사자 1명은 신장, 간장, 췌장, 심장, 폐 등 장기와 뼈, 피부, 혈관 등 인체조직을 기증해 최대 9명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2015년에야 뇌사 장기 기증자 수가 501명을 기록, 처음으로 겨우 500명을 넘었다. 같은 해 생존 기증자 수가 2001명을 기록한 것과 대조적이다.

세계장기기증·이식기록소(IRODaT)의 자료를 보면 2014년 한국의 인구 100만명당 뇌사 기증자 수(뇌사기증률)는 9.0명으로 스페인(35.9), 크로아티아(35.1), 미국(27) 등보다 한참 부족했다. 한국의 뇌사기증률은 뉴질랜드(10.2), 아이슬란드(9.2), 이란(8.4), 쿠웨이트(8)와 비슷한 수준이다. 반면 생존자가 신장, 간 등을 기증하는 생존기증률은 한국이 100만명당 37.53명에 달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한국보다 생존기증률이 높은 나라는 터키(42.5), 코스타리카(41) 등 둘뿐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생존자 기증은 대부분 가족이나 친한 친구를 대상으로 이뤄지는데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가족 간 유대가 깊어서 가족을 보호하려는 희생정신으로 생존자 기증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장기·인체조직 기증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하려는 목적으로 배우 감우성(46) 씨와 한채아(34) 씨를 ‘희망의 씨앗 생명나눔’ 제4대 홍보대사로 위촉한다. 감우성씨는 2014년 드라마 ‘내 생애 봄날’(MBC)에서 심장을 기증한 여인의 남편을 연기했다. 감씨는 당시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센터에서 장기·인체조직 기증 희망등록을 했다.

한채아씨는 버라이어티 ‘투게더’(tvN)의 MC를 맡아 장기·인체조직기증 서약을 확산하는 ‘생명나눔 릴레이 캠페인’을 주도했다. 본인도 장기기증 희망등록을 했다. 과거 희망의 씨앗 생명나눔 홍보대사로는 홍수환, 김보성, 신동엽 씨 등이 활약했다.

dewk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