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외국인 유학생도 高학력 인플레 ①] 10명 중 4명이 석ㆍ박사 과정…중국인은 1만명 넘어
- 외국인 유학생 석ㆍ박사 과정 해마다 증가, 6년 사이 25%→42%
- 한국 취업 용이, 교육 질 향상, 한류 등 영향…특정 국가 쏠림 등 부작용도 
- “무분별한 유학생 유치보다는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 더 필요”


[헤럴드경제=양대근ㆍ고도예 기자] 국내에서 유학중인 외국인 학생들의 ‘고학력화’가 뚜렷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해외 인재들을 유치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특정 국가 쏠림현상과 여전히 남아 있는 차별 문화 등은 극복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24일 헤럴드경제가 법무부의 ‘국적 및 체류자격별 유학생 통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작년 말 기준 국내 대학교에서 석ㆍ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은 2만3530명으로 나타났다. 석사 과정 유학생은 1만7483명이었고, 박사 과정은 6047명으로 양쪽 모두 사상 최대치를 넘어섰다. 
국내에서 유학중인 외국인 석ㆍ박사가 6년 사이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인재들을 유치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특정 국가 쏠림현상과 여전히 남아 있는 차별 문화 등은 극복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사진은 관련 이미지.  / [사진=게티이미지]

불과 5~6년전까지만 외국인 유학생 가운데 석ㆍ박사 비중은 20%대에 머물렀다. 지난 2009년을 보면 어학연수생을 제외하고 정규과정을 받고 있는 유학생(전문 학사 포함) 4만6599명 중 1만5583명이 석ㆍ박사 과정으로 전체에서의 비중은 25%를 차지했다. 하지만 2011년 30%대에 근접하더니 2013년 39%, 2015년 42%로 급격히 증가했다.

국적별로 보면 특정 국가로의 쏠림이 뚜렷하다. 중국인 유학생의 경우 석ㆍ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이들이 지난해 1만1164명으로 전체 유학생 중에서 절반 가까운 숫자를 차지했다. 중국에 이어 베트남이 2044명으로 2위를 차지했고, 몽골(1504명)ㆍ파키스탄(996명)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아시아권 국가 출신의 총합은 2만856명으로 무려 88.6%에 달했다. 국내에서 석ㆍ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 10명 가운데 9명이 아시아권이고 나머지 1명 만이 비아시아권인 셈이다.

이처럼 외국인 유학생의 고학력화가 두드러지는 이유로 한국에서 취업이 쉽고 국내 대학교들의 교육 질이 향상됐으며 한류 열풍의 영향 때문으로 분석된다. 
학위 과정별 외국인 유학생 추이 / [자료=법무부]

외국인 고학력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도 점차 강화하는 추세다. 법무부는 지난달 1일부터 해외 우수 인재의 국내 유학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일ㆍ학습 연계 유학비자를 신설하고 유학비자 발급 간소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서비스 개선을 통해 정부 초청 장학생으로 선발된 우수 유학생이 졸업과 동시에 곧바로 국내에서 원하는 일자리에 취업하는 것을 지원하고 있다.

법무부 관계자는 “현재 10만명인 국내 유학생 수가 정부의 계획대로 2023년까지 20만명이 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외국인 고학력자의 무분별한 유치에 따른 부작용도 적지 않게 나타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부 대학을 제외한 많은 학교들이 외국인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정작 교육 인프라 확충 등은 여전히 소홀하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꼽힌다.

한국 문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중도 이탈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지난해 말 기준 외국인 유학생 학업 중도포기자는 3598명으로, 전체 외국인 유학생의 3.73%에 해당한다. 외국인 재적학생 중 10% 이상이 학업을 중도에 그만둔 대학은 21곳으로 대부분 지방대다. 일부는 불법체류자나 범죄자로 전락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수도권의 한 대학교 대학원에 재학중인 미국인 A(25) 씨는 “한국 학생들은 여유도 없고 지나치게 경쟁체제인 것 같아 적응하기가 힘들다”며 “그전까지는 한국에서 살고 싶다는 생각이 있었고 유학까지 왔지만 이제는 공부 마치면 바로 돌아가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학력자라도 여전히 외국인 차별이 존재하는 점은 문제점으로 꼽힌다. 서울의 명문 사립대 대학원에서 무역학을 전공한 태국인 B(29ㆍ여) 씨는 “같은 조건이라도 한국인과 외국인은 연봉이나 대우에서 차별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국내 기업에 취직해서 일하고 있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회 국정감사에서 “교육부가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확대하는 정책만 내세우고 있다”며 “유학생 유치 실태에 대한 철저한 감사와 체계적인 유학생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