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金 ‘예고형’ 文 ‘주도면밀형’ 安 ‘이벤트형’…사퇴법도 각양각색
3인 모두 ‘책임’ 외쳤지만 대권득실 계산깔려
김무성 총선참패 책임론 피했지만 입지 줄어
문재인은 대권입지 굳혔지만 호남참패 책임론
안철수는 리더십 타격 대권행보 모색할듯



안철수 국민의당 의원이 29일 천정배 의원과 함께 공동대표직에서 전격 사퇴함으로써 여야 3당이 모두 선출 당대표 궐석하에 임시지도부체제로 운영되는 초유의 사태를 맞았다. 이에 앞서 지난 1월엔 문재인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사퇴했고, 4ㆍ13 총선 직후에는 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가 당권을 내려놓았다. 특히 안철수 전 대표와 함께 이들 3인은 각 당에서 유력 대권주자로 꼽혀 사퇴와 이후 행보가 초미의 관심을 끌고 있다.

김ㆍ문ㆍ안 3인 전 대표의 사퇴는 시기도, 이유도, 방법도 달랐다. 그에 따라 당의 운명도 갈렸다. 세 사람은 모두 저마다의 “정치적 책임”을 이유로 사퇴했지만, ‘용단’의 속내에는 대권주자로서의 득실계산이 깔려 있다는 게 정치권의 지배적인 해석이다. 


김 ‘자진예고형’, 문 ‘주도면밀형’, 안 ‘깜짝이벤트형’=당대표 재임 기간은 김 전 대표가 641일로 가장 길고, 안 전 대표가 150일로 가장 짧다. 문 전 대표는 354일 동안 당을 이끌었다. 사퇴 요구를 가장 오랫동안 받은 것은 문 전 대표다. 당대표 선출 불과 2개월여만인 지난해 4ㆍ28 재보궐 선거 패배 직후부터 당내에서 사퇴 요구를 받기 시작했다.

반면, 김 전 대표와 안 전 대표는 사퇴 요구가 불거지기 전 스스로 거취를 결정했다. 김 전 대표는 지난 3월 30일 관훈클럽초청연설에서 “국민공천제를 100% 지키지 못했고, 또 그 문제로 당에 분란이 있었고, 언론 보도에서는 정신적 분당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의 사태 맞이한 것은 책임져야 한다”며 ’4ㆍ13 총선 결과와 관계없이 사퇴하겠다”고 말했다. 김 전 대표는 총선 이튿날인 4월 14일 사퇴했다.

문 전 대표는 자신에 대한 사퇴요구를 내걸었던 안철수 의원의 탈당까지 지켜보면서도 대표직을 지켰다. 그러다가 총선을 약 3개월 앞둔 지난 1월 19일 “통합의 물꼬를 틔우기 위해 제가 비켜서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사퇴를 선언하고 며칠 후인 1월 27일 물러났다. 김종인 선대위원장 체제를 마련한 후 이뤄진 문 전 대표의 사퇴는 결과적으로 더민주의 총선 승리에 중요한 ‘한 수’였다는 평이다.

안 대표는 시기와 방법이 문 전 대표와 극단적으로 달랐다. 당 최고위원회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정치적 책임을 강조하며 사퇴를 고집했다. 사퇴의 변으로 “정치적 책임”을 강조한 것은 재보궐 선거 참패에도 수개월간을 버텼던 문재인 전 대표와의 차별화를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후속 체제에 영향…대선 득실도 제각각=문 전 대표는 자신의 사퇴와 김종인 대표의 영입을 총선 승리로 귀결지었다. 어쨌든 성공적이었던 셈이다. 자신의 사퇴 후 계파갈등이 잦아들면서 당 운영도 급속히 안정을 되찾았다.

반면 김 전 대표와 함께 최고위원이 모두 사퇴하면서 새누리당은 약 2개월 간이나 당지도부 공백사태를 맞았다. 원유철 전 원내대표를 비상대책위원장으로 내정하고 최고위 전원이 사퇴했지만, 섣부른 결정이었다는 것은 이후 계파갈등의 확산으로 드러났다. 원 비대위체제는 무산되고 이후 김희옥 비대위원장 영입까지 2개월간 당은 계파대립을 반복했다.

국민의당은 안ㆍ천 대표의 동반 사퇴 후 일단 박지원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으로 당권까지 맡기로 하면서 새누리당같은 내홍은 피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박 원내대표가 30일 “안 전 대표가 실질적 리더 역할”이라고 하면서 당 내의 잠복됐던 계파간 갈등과 여론의 비난이 불거질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3인 전 대표는 사퇴로 얻은 대권 행보에서의 득실도 달랐다. 김 전 대표는 일단 총선참패 후 극심한 계파반목에서 한발 비켜나면서 참패의 책임론으로부터 오히려 일부 자유롭게 됐다. 대신 정국의 중심에서 물러나면서 대권주자로선 입지가 약해졌다. 문 전 대표는 더민주의 총선 승리로 대권주자로서도 입지를 굳혔지만, 호남 참패를 둘러싼 책임론이 여전하다. 안 전 대표는 일단 리베이트 의혹으로 불거진 새정치 이미지와 리더십 타격 상황에서 한발 물러나 대권주자로서의 행보를 모색할 것이라는 게 정치권 안팎의 전망이다. 


이형석 기자/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