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경제-핵 성과 이룬 박 대통령…남은 대중동 외교 과제는?
[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수교 이후 첫 이란 방문을 통해 북핵 문제와 경제 협력 등에서 성과를 거둔 박근혜 대통령은 이제 내실을 채우기 위한 만만찮은 과제를 동시에 안게 됐다.

박 대통령은 지난 2일 하산 로하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뒤 19건의 협정과 66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236개사 500여명의 최대 경제사절단에 걸맞은 규모다. 또 이란으로부터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통일 원칙에 공감한다는 지지 의사를 이끌어냈다. 


관건은 법적 구속력이 없는 MOU 등이 얼마나 실제 계약으로 이뤄져 우리 기업의 성과까지 연결될지 여부다. 앞선 이명박 정부는 자원외교 성과를 자랑하며 96건의 MOU를 맺었다고 발표했지만 정작 본계약까지 이어진건 16건에 불과했다. 정부는 일단 빗장이 열린 이란의 주요 프로젝트를 선점했다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또 한반도 비핵화 부문은 이란의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북핵 반대와 대북제재 공조 의사를 확인하는 후속 작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부, 기업간 교류 못지 않게 민간 차원의 협력을 통한 양국 국민간 정서적, 문화적 유대감 확대도 중요하다. 이번 박 대통령의 이란 방문을 통해 확인된 한국 문화에 대한 이란의 높은 관심을 발전시키려면 우리 역시 그들에 대한 이해와 호감을 키워야 한다는 설명이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한국에 대한 이란의 관심에 비해 그 반대는 턱없이 부족하다”며 “자칫 자존심이 센 이란 국민들이 크게 실망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가장 큰 난제는 중동의 또 다른 맹주이자, 이란과 양숙인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관계 설정이다. 이란은 시아파, 사우디는 수니파 종주국이다. 양국은 지난해 1월 사우디가 시아파 종교 지도자를 처형하면서 국교를 단절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사우디는 그간 우호관계를 지속해온 국가들이 이란으로 달려가는 것을 경제적, 안보적 이유에서 달가워하지 않고 있다. 지난달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사우디를 방문했을 당시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국왕이 공항에서 영접하는 전례를 깨고 주지사가 맞이하도록 하는 등 홀대한 것도 이 때문이다.

우리 정부로선 천연가스 매장량 세계 1위, 인구 8100만명의 거대 내수시장인 이란을 놓칠 수 없지만 동시에 수출 11위(약 95억 달러), 원유 수입 의존도 1위(31.6%ㆍ이상 2015년 기준)의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사우디도 신경 쓰지 않을 수 없다. 사우디 역시 기존의 석유 의존도를 줄이며 경제체질을 개선하기 위핸 대규모 변화를 시도하고 있어 제2의 중동붐이 기대되는 국가다. ‘전략 외교’가 요구되는 이유다.

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