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7월 새누리당 전당대회. 김무성 의원이 같은 당 서청원 의원을 누르고 당 대표에 올랐다. 비박계와 친박계를 대표하는 두 거물의 라이벌 구도가 형성된 시점이다.
1년 3개월이 지나 이들은 공천특별기구로 다시 맞섰다. 상향식 공천에 정치인생을 걸겠다는 김 대표와 이를 책임지라는 서 최고위원은 공천특별기구 구성을 두고 재차 대립했다. 10월 초부터 벌어진 기 싸움은 한 달이 넘도록 팽팽하다.
국정교과서로 잠시 가려졌던 이들의 ‘리매치’는 내년 총선 룰, 미래권력과 맞닿아 있다. 누구도 쉽사리 양보할 수 없는 이유다.
2014년 전당대회 이후 이들은 각각 당 대표, 최고위원이란 직책으로 최고위원회를 이끌었다. 같은 해 12월, 여의도연구원장 인선을 두고 공개 설전을 벌이는 등 그 뒤로도 크고 작은 신경전이 끊이지 않았다.
‘리매치’는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가 포문을 열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김 대표는 오픈프라이머리로 공천을 개혁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공천 방식은 내년 총선에서 당내 세력을 좌우할 룰이다. 김 대표는 “정치인생을 걸겠다”며 강행 의지를 보였고, 서 최고위원은 “발언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압박했다.
뭍 밑 대결은 공천특별기구위원장을 두고 수면 위로 떠올랐다. 공천 룰을 결정할 위원장직을 두고 연일 하마평이 오르내렸다. 김 대표는 황진하 사무총장을, 서 최고위원 등 친박계는 최고위원 급을 주장했다. 김태호 최고위원, 이주영(4선) 의원 등이 거론됐지만 모두 위원장직을 고사했다.
10월 초 시작된 공천특별기구 위원장 인선은 한 달을 훌쩍 넘겼다. 국정교과서 논란으로 잠시 숨 고르기에 들어간 후 다시 링에 오른 태세다. 지난 16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들은 국정교과서 이후 처음으로 정면 충돌했다. 총선후보 경선 일정을 앞당겨야 한다는 김 대표와 공천 룰이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절차를 서둘러서 안 된다는 서 최고위원의 입장이 부딪혔다. 공천을 둘러싼 이들의 갈등이 재점화한 것이다.
지난 19일에는 비공개 회동을 하며 조율에 나섰다. 하지만 회동에서도 별다른 결론 없이 이견만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서 최고위원과) 대화할 것”이라고만 거듭 밝히며 말을 아꼈다.
이들의 해묵은 갈등을 감안할 때, 공천특별기구 위원장 인선이 쉽게 이뤄지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편으론, 내년 총선 일정을 목전에 두고 있기 때문에 시기적으로도 더 이상 등을 돌릴 수만 없다는 관측도 있다.
김상수 기자/dlcw@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