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中 ‘맑음’, 北中 ‘흐림’…中 전승절 외교전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다음 달 3일 열리는 중국 항일전쟁 및 세계 반(反)파시스트 전쟁 승전 70주년(전승절)은 변화된 한중ㆍ북중 관계 구도를 압축적으로 보여줄 것으로 전망된다.

박근혜 대통령이 하이라이트인 군사 퍼레이드(열병식)까지 참관하기로 결정한 반면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불참한다.

미국이 중국의 군사적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군사굴기(軍事堀起)에 의혹의 시선을 보내고 있는 가운데, 한미동맹의 한축인 한국 대통령은 ‘최고 귀빈’으로 참석하고 중국과 전통적 혈맹관계인 북한의 최고지도자는 불참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박 대통령이 고심 끝에 전승절과 함께 열병식까지 참관하기로 한 것은 해를 거듭할수록 정치ㆍ외교 측면에서 밀접해지는 한중 관계 도약과 함께 경제적으로도 최대 교역대상국이라는 점에서 실리외교를 추구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특히 북한의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도발과 서부전선 포격 도발 이후 급고조됐던 한반도 군사적 긴장 해소 과정에서 중국이 막후 역할을 했다는 점도 고려됐을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전승행사 전날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에서 북핵 문제의 진전을 위한 중국의 대북 지렛대 역할을 적극 요청하고, 남북 고위급 접촉을 통해 형성된 남북간 대화 분위기 속에서 한중 양국의 전략공조를 재확인할 것으로 알려졌다.

추궈홍(邱國洪) 주한 중국대사는 “박 대통령의 전승절 방중 때에도 양국 지도자 사이에서 북핵문제가 반드시 논의될 것”이라며 “중국은 조속한 6자회담 재개를 통해 북핵문제를 해결하고, 한반도 비핵화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북한은 김 제1위원장이 불참하기로 한 가운데, 헌법상 국가수반인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도 아닌 최룡해 노동당 비서를 파견함으로써 중국에 대한 불만을 노골적으로 표출했다.

중화권 매체 둬웨이(多維)는 “북한이 격이 맞지 않는 인사를 파견해 노골적으로 중국의 체면을 깎아 내렸다”고 분석했다.

이번 전승절 및 열병식 참석을 놓고 미국의 동북아 양대 동맹인 한국과 일본이 보인 행보도 눈길을 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전승절을 전후로 한 중국 방문을 막판까지 타진하다 결국 보류했다.

아베 총리는 전승절을 참석할 경우 대미 관계에서 올 수 있는 부담 등으로 방중을 접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필리핀과 함께 중국이 초청한 51개국 가운데 이를 거부한 ‘유이한’ 나라로 남았다.

이를 두고 일본은 대중 견제를 위한 미일 공조라는 전통적 구도를 택한 반면 한국은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 속에서 주도적, 선제적 결단을 내렸다는 평가도 나온다. 우리 군이 중국 전승 기념행사에 처음으로 대표단을 보내기로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다만 최근 들어 제기되고 있는 미국 조야에서 한국의 ‘중국 경사론’은 과제로 남게 됐다. 정부는 미국 측과 박 대통령의 전승절 및 열병식 참관에 대해 긴밀히 협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당국자는 “전략적으로 세부적 사항까지 충분하고 완전한 소통이 있었다”고 말했다.

윤병세 외교부장관은 박 대통령의 방중에 앞서 이달 말 북극회의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열리는 존 케리 미 국무장관과의 한미 외교장관회담에서 박 대통령의 방중에 대해 설명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 국무부는 박 대통령의 전승절 및 열병식 참관에 대해 “행사 참석은 각국의 주권적 결정사항”이라며 “우리는 한국의 결정을 존중한다”고 논평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