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신종플루 ‘대유행’ 선언 6주년이 주는 교훈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11일로 국내에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가 처음 확인된지 22일이 지났다. 감염병 발생 즉시 해당 지역과 공간을 국민에게 알리는 미국 등과는 달리, 한국 정부는 환자가 발생한지 2주가 지난 뒤에야 환자들이 거쳐간 병원을 공개하는 등 늑장 대응을 하는 바람에 메르스 환자 발생 세계 2위의 오명을 쓰게 됐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11일은 세계보건기구(WHO)가 ‘H1N1 인플루엔자’(신종플루)의 전염병 경보 수준을 ‘대유행(pandemic)’으로 격상한지 꼭 6년째 되는 날이다. 발병원인과 위험성, 전파속도 면에서 신종플루와 메르스는 여러면에서 차이가 있지만, 초동단계의 기민하고도 물샐틈 없는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재확인할 수 있다.


▶초기, 선제적 대응이 관건= WHO는 2009년 6월11일 74개국 3만명의 신종플루 감염자가 발생해 145명이 사망하자 41년만에 대유행을 선포한뒤 각 국의 치밀한 대응을 촉구했다.

각 국은 학교 휴업, 감염자 차단, 위험국 출입국 및 수입 규제, 발열 체크와 검역 강화 등 조치를 취했지만 사흘마다 1.5배씩, 일반 바이러스에 비해 4배 이상 빠른 확산속도를 막기가 쉽지 않았다.

신종플루 방역에 가장 모범적이었다는 평가를 받았던 호주는 광활한 영토 구석구석까지 방역에 나섰고, 초기 환자가 발생했을 때 즉시 격리조치를 취했다. 항바이러스제 투약도 다른 나라보다 앞섰다.

▶의료인력 상비군 가동ㆍ침 뱉기 금지= 스위스는 전현직 의무병을 소집해 부족한 의료인력을 메꿨고 프랑스 일부지역에서는 공공장소에서 침을 뱉는 행위까지 금했다. 심지어 축구 선수에게도 그라운드에서 침 뱉지 말도록 권고했다.

한국에서는 각 사무실, 공공장소 마다 손 소독기와 특수세척제를 비치했고, 일부 백화점은 손을 소독하지 않을 경우 문이 열리지 않도록 조치했다.

미국상공회의소, 싱가포르기업연합회(SBF)는 각각 ‘비즈니스 연속성을 위한 지침서(Flu Pandemic Business Continuity Programme)을 도입하고 보건당국과 협의해 이 가이드북의 국가인증까지 받아 산업계에 전파했다.

▶기업의 비즈니스 연속성 전략=인텔은 ▷전문기관과 미리 계약해둔 국제비상응급서비스(International SOS)를 가동해 임직원 건강 및 안전을 도모했고 ▷대유행 이전 초기 단계에 업무중단에 대비한 모의훈련을 실시했으며 ▷원격 근무 인프라를 확보하는 한편, 이같은 감염병 대응체제를 협력업체에 까지 공유하고 이해를 구했다.

메르스에 비해 열 배가 넘는 확산 속도 때문에, 사태 해결의 주안점은 전염방지 보다는 신약개발로 선회한다. 약은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고 효능도 차이가 있었지만 호주가 가장 먼저 바이러스를 조기에 약화시키는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했다. 약품 제조 허가 절차가 까다로운 중국도 베이징커싱 등 10개 제약사에게 타미플루 백신 제조를 긴급 허가해, 6500만명분을 생산했다.

▶선제적 백신 개발과 공공의료 인프라의 중요성=나라별 의료인프라의 차이는 발생속도와 사망률의 차이로 고스란히 드러났다. 우리가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감염병 전문병원을 설치해야 하는 이유이다. 의료 인프라가 취약한 인도의 신종플루 사망률은 세계평균의 2.5배에 육박했다.

국제적인 감염병들은 저마다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대응의 주안점도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위험성이 매우 높은 에볼라 바이러스는 국가, 지역 간 신속한 차단이 가장 중요하다.

신종플루나 ‘2차감염 이후의 메르스’ 환자들은 질환의 위험성이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당국의 위생 및 생활 가이드만 잘 지켜도 일상생활에서 위험한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전문가들은 충고한다.

사스는 신종플루나 메르스 보다 좀 더 위험하기 때문에 조기 진단 및 백신 처방이 급선무이다.

메르스의 경우 조속히 치료약을 개발되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메르스 백신은 한 국내 업체가 11일 미국 연구기관과 공동개발중이라고 밝혔지만, 정부 당국의 검증과 허가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ab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