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984년 김일성 조기 퇴진설에 정부 대책 마련 착수
[헤럴드경제=김상수 기자]정부가 1984년 당시 김일성의 ‘연내 퇴진설’이 나오자 이를 위한 대비책을 마련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는 당시 김일성의 소련ㆍ동유럽 순방을 사실상 퇴진을 앞둔 순서로 보고, 조기 권력 이양 가능성을 크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교부가 30일 공개한 외교문서에 따르면 1984년 6월 23일 일본 외무성 북동아 과장은 주일 한국대사관 정무과장에게 ‘김일성이 머지않아 주석직에서 은퇴하고 김정일이 주석이 될 것’이라는 정보를 알렸다.

김일성이 방문했던 불가리아와 루마니아의 외무성 고위 관리가 현지의 일본대사관 고위직에게 말한 정보가 그 근거였다.

불가리아 고관은 ‘1985년에는 김정일이 주석이 돼 있을 것이라 한다’고 말했고, 루마니아 고관은 ‘이번 소련·동구 방문은 김(일성)이 머지않아 은퇴, 김정일에게 뒤를 물려주기 위한 준비의 의미가 있다’라는 말을 했다고 주일 한국대사관은 보고했다.

이에 정부는 김일성 자신이 불가리아·루마니아 방문에서 ‘조기 은퇴설’을 표명했다고 보고, 정부는 1984년 7월11일에 박세직 당시 안기부 제2차장이 주재하고 청와대, 총리실, 외무부, 내무부, 국방부, 통일원, 문화공보부 등이 참여한 실무국장회의를 개최했다. 정부는 김일성 생존과 사망 두 가지 가능성을 두고 문공부 장관이 발표할 김정일 권력 승계 관련 대북 성명 내용도 마련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대외적으로 김정일 정권의 비 전통성을 은밀하게 알린다는 내용도 구상했다. 서방권과 공산권 사회에 김정일의 세습이 인정받지 않도록 하겠다는 구상이다.

국방정보본부는 1984년 7월10일 작성한 ‘김정일 권력승계에 따른 대남도발 위험성 판단 및 대비책’ 문건에서 “88년 한미 대통령 선거기, 1988년 올림픽 개최 및 북한군 훈련 양상 등의 면에서 88년 4월이 가장 취약하다”고 밝히며 군 도발 가능성도 언급했다.

다만, 남북 간에 강경한 분위기만 고수하진 않았다. 외무부가 그해 8월 작성한 ‘외무부 대책’에는 김일성 퇴진 직후 1개월은 김일성을 집중적으로 규탄하되 이후 1∼2개월은 대북 비방을 전면 중지하고 아웅산 사건에 대한 거론을 일단 유보한다고 적혀 있다.

=퇴임설이 제기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 해리엇 아이솜 당시 미국 국무부 한국과장은 주미 한국대사관 참사관에게 “외교 문제에 관한 김일성이 강력한 권한을 계속 행사하겠다는 조짐도 있다”고 언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아이솜 과장은 “최근 일련의 동향으로 볼 때 김정일이 실권을 장악했다는 일반적 평가에 대한 의구심을 갖게 한다”고 말했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