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소니 픽처스 해킹에 대응하는 동북아 국가들, 제각기 ’동상이몽‘
[헤럴드경제 =원호연 기자]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암살을 다룬 영화 ‘인터뷰’를 제작한 소니픽처스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사이버 해킹 주범으로 북한이 지목되자 북ㆍ미 간 사이버 대전의 막이 올랐다. 그러나 동북아시아 각국의 대응 수위는 각국이 가진 이해관계에 따라 서로 달라 향후 외교갈등의 씨앗이 될 것으로 보인다.

테러의 대상이 된 미국은 강력한 보복조치를 예고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이번 해킹을 ‘사이버 반달리즘(사이버 무기를 이용해 문화ㆍ예술 및 공공시설을 파괴하는 행위)’으로 규정하고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 다시 올릴 것을 공식 검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미국 현행법은 전통적 테러 행위의 증거가 있을 때 테러지원국 지정이 가능하도록 돼 있지만 미 정치권에서 더 강한 대응을 주문하고 있는 만큼 재지정 가능성은 높다. 내년 개원하는 상원에서 군사위원장을 맡을 공화당 존 매케인 의원은 한 방송대담에서 해킹에 대해 “새로운 전쟁행위로 반달리즘 이상의 것”이라고 주장하며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를 요구했다. 대표적인 대북 강경파인 존 볼튼 전 유엔주재 대사는 ‘눈에는 눈’ 이상의 강력한 대응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미국은 국제사회에 공조를 요구했다. 이에 가장 적극적으로 호응한 것은 역시 우리 정부다. 정부는 작년 3월 금융권에 대한 사이버 공격 자료 등 관련된 정보를 미국 정부에 제공하기로 하고, 유사 사이버 테러에 대한 대응태세를 갖추기로 했다. 이는 최근 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의 원전 도면 유출 사건에서도 지난 사이버 공격 때와 유사점이 발견되는 등 북한의 해킹이 남의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일본은 북한을 비난하면서도 자국의 외교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22일 기자회견에서 이와 관련, “우리나라는 미국과 긴밀한 협력을 모색하며 미국의 대처를 지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소니 픽처스의 모회사 소니가 일본기업인 만큼 일본 국민들도 이번 사건을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기 때문. 그러나 스가 장관은 이번 사건이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둘러싼 북일 협상와의 관련성에 대해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며 선을 그었다. 의욕을 갖고 북한과 납북자 송환과 독자 제재 해제를 맞바꾸는 협상을 진행하는 상황에서 이번 사건으로 발목을 잡히지 않겠다는 뜻이다.

중국은 사이버 공격 자체에 대해서는 강하게 비판하면서도 그 주범으로 북한을 지목한 데 대해서는 사실 관계와 증거가 좀더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과 전화통화에서 “중국은 모든 형태의 인터넷 공격과 인터넷 테러 행위를 반대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또 그 어떤 국가나 개인이 다른 국가에 있는 시설을 이용해 제3국에 대해 인터넷 공격을 하는 것에도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보안업계는 북한의 사이버 공격은 주로 중국 동북부 지역에서 이뤄지거나 중국 내 IP 주소로 우회해 이뤄지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가뜩이나 미국이 중국을 사이버 해킹과 산업 스파이의 배후로 지목하고 압박하는 상황에서 북한의 행위로 함께 의심을 받는 것을 경계하는 눈치다. 중국은 사이버 공간 역시 영토와 마찬가지로 개별 국가의 주권이 미치는 공간이라고 규정하고 “이에 대한 관리나 규제는 개별 국가의 몫”이라며 미국의 간섭을 배제하려 한다.

러시아는 미국의 공조 요청에 대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대신 내년 5월 열릴 전승기념행사에 남북 정상을 초청,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적 봉쇄를 무력화하고 한반도에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