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집나간 명태를 찾습니다...사례금 ‘50만원’
[헤럴드경제=원승일 기자] 명태 구하기가 바다에서 바늘 찾기만큼이나 어렵다. 어민들은 요즘 살아 있는 명태를 잡기 위해 혈안이 돼 있다. 해양수산부가 최근 동해에서 자취를 감춘 명태를 살리기 위해 현상금을 내걸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살아서 잡혀 온 명태는 고작 20마리뿐이다.

해수부는 지난 2월부터 남획과 수온 상승 등으로 씨가 마른 명태 자원을 회복하기 위해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를 시행 중이다.


로젝트의 일환으로 살아있는 명태를 잡아온 어민에게 최대 50만원의 사례금을 지급하고 있다. 여기서 50만원은 귀해진 명태를 산 채로 잡아오기 위해 공들인 비용과 시간에 대한 보상이다.

하지만 12일 현재까지 어민들로부터 확보한 명태 208마리 중 살아있는 명태는 20마리에 불과하다. 그나마 나머지는 모두 죽은 상태였다.

해수부는 명태를 살리기 위해 1억3000만원이라는 거금을 준비해 둔 상태지만 사례금으로 지급된 돈은 10분의 1이 채 못 된다.

김도순 해수부 수산자원정책과 사무관은 “그만큼 살아있는 명태를 확보하는 일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해수부가 사례금까지 걸고 산 명태를 구하는 것은 수정란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살아있는 명태는 난자와 정자가 활력이 있어 수정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명태의 수정란을 확보한 뒤 이를 부화시켜 인공종묘(치어)를 생산하고, 이를 동해에 방류해 명태 자원을 회복시키는 것이 목표다. 결국 수정란 확보를 위해서는 생생한 명태를 구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셈이다.

해수부는 살아 있는 명태 확보가 힘들어지자 죽은 명태를 가져온 사람에게도 마리당 5만원 이상의 사례금을 지급하고 있다. 죽은 명태라 하더라도 보존 상태에 따라 인공수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현재 갓 잡은 동해산 명태 한 마리가 2만~3만원 고가에 거래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죽은 명태를 쥐어짜서라도 수정란을 구하려는 해수부의 명태 살리기 노력은 절실해 보인다.

해수부는 명태 수정란을 올해 10만개, 내년 100만개, 2016년 500만개, 2017년 1000만개에 이어 2020년까지 5억개를 확보할 계획이지만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한편 우리나라 명태 어획량은 1970년대 7만t에서 2000년대 중반까지 100t으로 급격히 떨어졌고, 2007년 이후 현재까지는 연간 1t~2t에 불과한 실정이다. 반면 국내 명태 수요는 연간 30만~40만t에 달해 현재로는 러시아, 미국 등으로부터 수입한 물량(2010년 기준 36만여t)으로 수요를 충당하고 있다.

w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