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크엔드] 버냉키 한마디에 주가 오르락 내리락
양적완화가 지배한 글로벌 증시
2008년 이후 글로벌 증시를 지배한 건 ‘버냉키 입’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벤 버냉키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양적완화(QE) 관련 정책 발언에 따라 세계 증시와 채권, 원유, 금과 원자재 등 실물자산 시장까지 함께 출렁거렸다. 버냉키 의장이 금리인상 중단을 시사하는 발언을 하면 전세계 주가가 급등하며 ‘버냉키 랠리’가 펼쳐졌고, 반대로 그가 금리 인상을 시사하면 전세계 주가가 급락하며 ‘버냉키 쇼크’가 나타났다.

2008년 9월 리먼 브라더스 파산으로 촉발된 금융위기와 경기 침체에 대응해 미국은 2008년 12월에 연방기금금리를 종전 1.0%에서 0~0.25%로 낮추고, 국채와 정부보증모기채권을 대규모로 매입해 통화공급량을 늘리는 양적완화를 선언했다. 이듬해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3000억달러 규모의 장기국채매입을 발표하는 등 2010년 1분까지 1차 양적완화를 통해 총 1조7000억달러가 시장에 투입됐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스탠더드앤푸어스(S&P) 500지수는 1차 양적완화 시기(2008년 12월부터 2010년 3월까지)에 42% 상승했다. 시중에 돈이 풍부해져 투자자들이 주식 투자를 늘렸기 때문이다. 


이후 지수는 2, 3차 QE 시행 시기와 공백기에 맞춰 상승과 하강 곡선을 따라 그렸다. QE 1이 종료된 뒤 2010년 7월까지 11% 하락했다. QE 1이 실물경제에 미친 반향이 신통치 않자, 2010년 10월에 Q1 보다 더 큰 규모의 QE 2가 발표됐다. QE 2(2010년 10월부터 2011년 6월까지)가 펼쳐진 1년 8개월 사이 지수는 다시 24% 올랐다. QE 2가 종료되자 오퍼레이션 트위스트(장기국채 매입하고 단기국채 매도해 장기금리를 인하하는 정책) 시기 이전까지 지수는 다시 14% 미끄러졌다. 오퍼레이션 트위스트(2011년 9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시기에 지수는 다시 20% 상승세를 연출했다.

3차에 걸쳐 시행된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에 따라 영국 FTSE100, 독일 DAX, 일본 니켓이, 중국 상하이종합, 홍콩 항셍, 한국의 코스피 등 각국 주요 지수가 함께 상승했다.

유럽중앙은행(ECB)의 0%대 초저금리 역시 지난 수년간의 유동성 장세를 이끌었다.

하지만 선진국의 양적완화 정책은 우리나라 같은 신흥국 경제에는 적지않은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 미 달러화 공급 증가에 따른 달러화 약세로 원ㆍ달러 환율이 하락(원화 가치 상승)해 한국 제품의 수출 가격경쟁력이 하락했다. 풍부한 유동성은 원유 등 상품 시장에 투자 확대를 일으켰고, 이로 인한 국제유가 상승은 물가 상승을 초래했다.

증시에 변동성은 확대돼 ‘버블 증시’ 경고가 양적완화 비관론자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아울러 주변 국가로의 자본유출입이 증대됐고, 환율 등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져 글로벌 증시의 상호연관성은 더욱 높아졌다.

한지숙 기자/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