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달처럼 뽀얗고 넉넉한 백자, 현대미술가에겐 영감의 원천
[헤럴드경제=이영란 선임기자] 밤하늘에 둥실 뜬 보름달처럼 넉넉하고 푸근한 조선백자는 이 땅의 미술가들에게 작업의 큰 원천이다.

한국 추상회화의 개척자인 수화 김환기(1913~1974)는 “어찌하면 사람이 이러한 백자 항아리를 만들었을꼬… 한 아름되는 백자 항아리를 보고 있으면 촉감이 동한다. 싸늘한 사기(砂器)로되 다사로운 김이 오른다. 사람이 어떻게 흙에다가 체온을 넣었을까.”라고 찬탄하며 이를 화폭에 옮겼다.

실제로 김환기는 한국에 체류할 당시, 성북동 화실 한켠에 달항아리며 조선백자를 쌓아놓고 이를 그림에 녹여냈다. 화가는 근처를 지나는 사람들이 자신이 수집한 백자들을 오가며 볼 수 있도록 창문 곁에 선반을 만들고, 이를 전시하기도 했다. 단순하면서도 깊이있는 미감을 뿜어내는 백자의 매력을 많은 이들과 나누고 싶어서였다. 

김환기 여인과 매화와 항아리, 1956, 캔버스에 유채, 60.5x41cm, 개인 소장

비단 수화 김환기 뿐이 아니다. 도상봉, 손응성, 정창섭, 박서보 등 무수히 많은 작가들이 백자에서 영감을 얻거나 이를 작품의 소재로 직접 활용하기도 했다. 도상봉 작가는 자신의 호를 ‘도자기의 샘’이라는 뜻의 ‘도천’(陶泉)으로 지을 정도였다. 이같은 흐름은 후대 작가들에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서울 종로구 부암동의 서울미술관(이사장 서유진)이 ‘백자예찬: 미술, 백자를 품다’전을 마련했다. 한국 근현대 미술에 오롯이 숨쉬고 있는 백자의 아름다움을 음미하고, 그 의미와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한 기획전이다.

백자는 실용적인 생활용기이면서, 절제와 지조를 추구했던 조선시대 유교적 미의식의 정수이기도 하다. 오랜 세월 애호된 조선 백자는 한국인의 삶과 정신문화 속에 중요한 아이콘으로 남아 있다. 특히 단순한 형태와 순백의 그윽한 색감은 이후 많은 미술가들에 의해 탐구되고, 재해석됐다.

김환기 섬 스케치, 1940년대, 캔버스에 유채, 80x99.6cm, 서울미술관 소장

이번 전시는 백자를 소재로 우리의 전통미감을 드러낸 근현대 작품과 현대적 맥락에서 백자를 차용하거나 의미를 넓힌 동시대 미술가들의 작품이 다양하게 나왔다.

전시는 세 개의 섹션으로 짜여졌다. 먼저 ‘백자 스미다’ 섹션은 근현대 거장들의 작품 속에 드러난 전통의 미를 재음미하는 자리다. 백자의 형태와 선을 그대로 표현한 작품에서부터 백자가 상징하는 정신성을 강조한 작품, 백자의 미학을 추상적으로 구현한 작품이 다양하게 모였다.

조선백자와 함께 해와 달, 새와 매화를 즐겨 그린 김환기의 작품은 모두 6점이 내걸렸다. 특히 김환기의 1940년대 작품인 ‘섬 스케치’는 이번에 최초로 공개되는 작품이어서 관심을 모은다. 작가가 자신의 고향인 전남 신안군 안좌도를 배경으로, 항아리를 이고 가는 여인을 곁들인 그림으로, 지난해 뉴욕 크리스티 경매에 나온 것을 서울미술관이 낙찰받았다.

구본창 Vessel(HR 02-1), 2006, C-프린트, 123x154cm, 작가소장

이와함께 백자의 맑고 깊은 유백색의 색채와 표면, 도공들의 무작위(無作爲)적 작업 태도를 저마다의 추상언어로 구현한 박서보, 이동엽, 정상화, 정창섭의 깊고 기품있는 단색조 회화도 전시되고 있다.

두번째 섹션은 동시대 미술가들의 시각으로 재해석되거나 의미의 확장이 이뤄지고 있는 백자를 살펴보는 자리다. ‘백자, 번지다’라는 부제의 이 섹션에서는 2000년 이후 오늘의 미감을 해석된 작품이 모였다.

순백의 백자와 청화백자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현한 고영훈의 극사실 회화, 전세계 뮤지엄에 소장된 백자를 찾아 이를 기록하며 새로운 아름다움을 제시한 구본창의 뽀얀 사진을 만날 수 있다. 또 백자 달항아리에 민족 통일과 인류 화합의 메시지를 담은 강익중, 쇠파이프를 이용해 달 항아리의 신비로움을 일루전으로서 표현한 박선기, 3차원의 도자기를 2차원적 평면으로 변주한 이승희의 도조회화도 포함됐다. 

노세환 짜장면집 백자(설치전경), 2013, 나무좌대 위에 플라스틱 그릇, 가변크기, 작가소장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발견되는 백자의 전통을 흔하디 흔한 짜장면 그릇을 통해 보여주는 노세환, 백자의 형태를 현대적 감각으로 표현한 김병진의 대형 조각도 나왔다.

세번째 섹션 ‘백자, 이어지다’는 조선백자의 명맥을 이어온 현대도예작가들의 도자기를 직접 만나는 코너다. 조선백자의 복원을 위해 한평생을 바친 고(故) 한익환, 물레성형의 원 형태를 파괴하며 파격의 미를 선보여온 김익영, 영국 빅토리아 알버트 뮤지엄에 달항아리 작품이 컬렉션된 박영숙, 질박한 백자의 멋을 세련되게 재탄생시킨 권대섭 등의 백자가 함께 전시되고 있다. 

이승희 Tao LB482013, 2013, 세라믹, 85x84cm, 작가소장

서울미술관 설립자인 안병광 유니온약품 회장은 “백자를 테마로 한 전시는 많이 있어왔지만 이번처럼 회화와 입체, 설치, 현대도예가들의 백자까지 두루 어우러진 전시는 처음일 것”이라며 “김환기, 도상봉, 정상화, 박서보, 이동엽 등 한자리에서 접하기 힘든 귀한 작품을 통해 한국 미의식의 정수인 전통 백자가 오늘날 어떻게 재해석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최근들어 많은 미술팬들이 해외미술품에 더 쏠리는 경향이 있는데 우리 고유한 미의식과 미감을 재음미하고, 이를 사랑하는 마음이 널리 확산됐으면 좋겠다”고 소망을 피력했다.

전시는 8월 31일까지 계속된다. 성인 9000원(석파정 관람 포함). 02-395-0100.

yr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