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금융歷史상 이런적은 없었다…금융권 각종 사고로 ‘총체적 난국’
[헤럴드경제=서경원ㆍ황혜진 기자]일본 속담에 ‘사자 몸속의 벌레(獅子身中の虫)’라는 말이 있다. 용맹스러운 사자를 쓰러뜨리는 것은 외부 요인이 아닌 몸속의 작은 벌레라는 뜻이다. 미미해 보이는 내부의 적이 외부의 적보다 훨씬 더 위협적이란 교훈을 담고 있다.

우리나라 금융산업은 1997년 외환위기, 2008년 리먼브라더스 사태 등 토네이도급 외풍(外風)에도 비교적 잘 견뎌왔다. 그런데 작년 하반기부터 어느 금융사 할 것 없이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비리ㆍ횡령ㆍ부당대출ㆍ정보유출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해당 사고들의 진앙지가 내부라는 점이 사안의 심각성을 더 한다.


▶‘스케일’ 커지는 내부사고=국내 금융은 최근 몇달간 ‘자고 나면 터진다’고 할 정도로 도미노 사고 때문에 홍역을 앓고 있다.

지난해 9월 동양증권의 불완전판매 피해의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11월에 국민은행에서 내부횡령 사고가 터졌다. 올 들어서는 카드사에서 대규모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초대형 사고 발생하면서 온 국민을 불안에 떨게했다.

2월에는 하나은행 등 일부 은행이 KT ENS 협력업체의 대형 사기대출 사건에 휘말리면서 대출심사의 허술함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일본에 진출한 국내 금융사의 비리도 연달아 터지고 있다. 특히 도쿄지점 문제는 지난해 11월 국민은행에서 시작돼 우리은행, 기업은행에 이어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으로까지 확산되는 모습이다.

최근 들어선 금융사 직원이 가담한 사고의 규모가 점점 대형화되고 있다. 작년 11월 터진 국민은행 횡령 사건은 직원이 국민주택채권의 원리금 110여억원을 횡령한 사건이다. 올 4월엔 팀장급 직원이 부동산개발업자에게 1조원 가까운 규모의 허위 입금증을 발급해준 사건 등이 발생했다. 최근엔 한화생명에서 내부 직원이 30억원대 대출의 허위보증을 선 사건이 적발되기도 했다.

한 금융사 임원은 “수십년 금융권에 몸 담고 있었지만, 이렇게 대형 사고가 연이어 터진 적은 없었다”고 전했다.

▶한지붕 두가족, 줄대기 경쟁이 화근=전문가들은 금융사들의 내부사고가 끊이지 않는 데에는 관리 시스템의 부재보다는 조직의 태생적 한계점에서 원인을 찾고 있다. 전혀 다른 두 금융사가 인수ㆍ합병(M&A)의 역사를 거쳤지만, 여전히 출신별 ‘투 채널’이 존재하는 등 화학적 결합으로 이어지지 못한 것이 결국 내부 사고의 배경이 됐다는 것이다.

김호중 건국대 교수(경영학)는 “내부통제는 최상부가 아닌 중하부에서 하는 것인데, 사고가 터진 은행들의 수장은 낙하산인 경우가 많아 직원들이 줄대기에 바쁜 상황”이라며 “내부통제 시스템 자체는 잘 갖춰졌다고 볼 수 있지만, 이것이 실제로 시행되지 못하는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비 온 뒤 땅이 굳는 것처럼 지금의 위기를 기회로 승화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윤창현 금융연구원장은 “과거와 달리 정보의 흐름이 투명하게 공개되면서 작은 거 하나까지 알려지게 돼 외부에 더 많은 금융사고가 나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원장은 “이젠 금융사들이 큰 게 아닌 작은 거 하나가 회사의 존립을 흔들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그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한다”면서 “얼마나 심각하게 문제인식을 하느냐에 따라 사태의 재발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