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칼럼> 설 명절 이후 물가불안 반드시 경계해야
천정부지 치솟는 국제유가

고물가·소비위축 부채질

공산품 가격인상도 들썩

물가안정위해 지혜 모아야


1월 무역수지가 23개월 만에 적자를 기록할 것 같다고 한다. 1분기 경제성장률도 전기 대비 -0.1%가 점쳐진다는 어두운 전망도 있다. -4.6%를 보였던 2008년 4분기 이후 4년여 만의 마이너스 성장이다. 숫자만 본다면 올해 대한민국의 경제전망대는 먹구름 그 자체다.

연초부터 이란 핵개발을 막기 위한 미국의 경제 제재와 이에 맞선 이란의 호르무즈해협 봉쇄 위협으로 국제유가가 요동치는 등 악재가 터졌기 때문이다. 이미 100달러를 돌파한 두바이유는 110달러 고지를 넘보는 상황이다. 이 같은 고유가 행진은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는 우리로서는 엄청난 경제적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국제유가는 고물가와 소비위축의 악순환을 키우게 마련이다. 유가가 1% 오르면 국내총생산(GDP)은 0.04% 하락하고 소비자물가는 0.1% 상승한다고 한다. 게다가 올해는 총선ㆍ대선 등 두 차례 선거까지 있어 통화 유동성 급증으로 인한 물가불안 리스크도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 때문일까. 한국은행은 25일 금리를 동결하면서 올해 물가상승률 하락폭이 제한적일 것이라며 새해 물가 전망을 어둡게 내다봤다. 올해 상반기 중 물가불안이 지속될 것이란 예고인 셈이다. 물가불안 요인은 이뿐 아니다. 지난해 고물가 광풍의 중심에 섰던 공산품은 올해도 불안의 진폭이 여전하다.

벌써부터 일부 제품에선 가격인상의 시그널이 감지되고 있다. 이미 수입 화장품 중 일부가 설 연휴가 끝나기 무섭게 가격인상에 나섰다고 한다. 샤넬백 가격이 2월부터 평균 10%가량 오르는 등 명품도 비상이다. 국민들이 매일 먹고 마시는 빵이나 우유, 과자 등도 원재료 부담 가중을 이유로 가격인상 소문이 파다하다.

정부의 압력에 밀려 가격인상을 철회했던 업체들은 수익성 악화로 경영난을 겪고 있다며 볼멘소리가 여전하다. 설 이후 물가불안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끊이질 않는 이유다. 국가 경제의 버팀목인 기업들이 수익성 악화로 생존을 위협받아서는 안 된다. 하지만 가격인상만이 능사는 아니다.

제조업체는 비용 절감과 효율성 극대화를 통해 수익성을 개선해야 한다. 크고 작은 유통업체들도 입점거래선 수수료나 유통마진을 적정화하는 등 가격인상 요인을 흡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고물가는 소비심리를 꽁꽁 얼어붙게 하는 악재라는 사실을 잊어선 안 된다.

분기별 판매량 증감 추이를 나타내는 이마트 지수를 보면 우리 소비심리가 상당히 위축됐음을 알 수 있다. 실제 지난해 3분기(99.0)에 이어 4분기에 98.7로 떨어져 연중 최저치다. 2분기 연속 100 미만을 기록하기는 2008~2009년 미국발 경제위기 이후 처음이다.

재차 말하지만 설 이후 물가가 더 걱정이다. 가격인상이 예정된 공산품이 한둘이 아닌 데다 고유가와 선거로 인한 정치 리스크까지 예고된 상황이기 때문이다. 분명한 사실은 소비 선순환의 시작점이 바로 안정된 물가라는 점이다.

이제부터 시작이다. 물가불안은 사라져야 한다. 그리고 물가안정을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한다. 고물가는 불황형 소비의 악순환 고리를 만들고, 한국경제를 허약 체질로 변질시킨다. 설 명절 이후 물가불안을 더욱 경계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