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SNS로 새는 군 정보, 방관 안 된다
군 장병들이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군 관련 정보를 유출시킨다는 것은 국가보위 차원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으로 불확실성과 안보 리스크가 가중된 상황에서는 더욱 그렇다. 한마디로 군 장병들의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은 규제해야 마땅하다. 특히 군 간부들의 SNS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폰 등록 대수가 수개월 사이에 두 배 이상씩 느는 추세라면 일단 숨고르기가 필요하다. 덩달아 사병들까지 영내 ‘사이버지식정보망’을 통해 접속이 얼마든지 가능한 실정 아닌가.

SNS를 통해 유출되는 군 정보는 눈과 귀를 의심케 한다. 페이스북 검색란에 ‘육군’ ‘해군’ ‘공군’을 입력하면 각종 군 정보가 줄줄 꼬리를 문다. 장병들의 근무지와 병과까지 신상정보가 뜨고, 심지어 군사기밀 담당자가 기무사라고 신분을 버젓이 밝힌다. 훈련일정이나 부대배치는 물론이고 핵안보회의로 휴가를 못 간다는 등 주요 계획까지 오르는가 하면, 군 내부 약점마저 여과 없이 밝힌다. 최근 최전방 초병이 국방장관에게 트위터로 휴가제한 조치에 불만을 제기하자, 되레 장관이 용기 있는 소통이라며 수용한 것은 차라리 애교다. 걸프전 당시 미군 당국은 종군기자들에게까지 엄격한 정보 통제를 취한 바 있다.

대수롭잖아 보이는 한 톨의 군 정보도 무심코 흘려선 안 된다. 반복되고 쌓이면 확대재생산돼 안보위협을 더 키울 수 있다. 북한은 이런 정보들을 손바닥처럼 들여다보고 있다. 북한의 사이버 전력은 놀라운 경지에 이르고 있다. 상대의 우위전력을 피하면서 약점이나 급소를 타격하는 ‘비대칭전력도발’ 중의 핵심이 사이버 전력 아닌가. 특히 북한의 새 권력자인 김정은이 ‘정보정치’를 기치로 해커부대 양성 등에 관심이 많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농협 전산망 해킹을 비롯, 3년 전 탈북자로 위장한 남파 여간첩이 장교 명함 100여장을 중국 내 북한 기관에 넘겨 일부 장교들의 e-메일 등 신상정보가 해킹당했던 황당하고 부끄러운 사건들을 기억해보라.

사이버 전쟁은 소리 없이 규모나 양적으로 가늠조차 불가능한 피해를 입힌다. 이미 어떤 기밀이 어디까지 흘러갔는지 파악할 수 없다는 것이다. 첨예한 남북 대치 상황에서 국방과 안보 관련 정보는 온-오프라인을 통틀어 전 방위로 물 샐 틈 없이 막아야 한다. 국방부는 군 장병의 SNS 활용 가이드라인을 엄격히 새로 마련, 경각심을 주기 바란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