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도 대북 정보 깜깜…평양 공관 둔 나라와 긴급접촉 훈령
미국 정부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 정보를 입수한 시점은 사망 후 최소 하루 또는 그 이상 지났을 때라는 보도가 나왔다. 일부 정부 관계자들은 심지어 김 위원장의 건강이 호전되고 있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나타나 대북 정보에 관한 한 미국도 소외됐다는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로이터는 21일(이하 현지시간) 익명을 요구한 두명의 미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미국 정부는 국가정보국(DNI) 산하 오픈 소스센터를 통해 김 위원장 사망 사실을 처음 접했다는 것. 오픈소스센터는 전 세계 언론보도를 모니터링하는 곳으로, 보도 전엔 북한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몰랐다는 얘기다.

이들은 “김 위원장 사망정보를 뒤늦게 파악했지만 워낙 폐쇄적이고 고립된 북한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포착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정보의 실패는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김 위원장 사망당시의 정확한 상황에 대한 미국 정부의 보고도 완전하지 않았다는 점도 인정했다.

이에 더해 김정일 위원장에 대한 최신 정보에 밝은 미ㆍ유럽 정부 관계자들은 지난 2008년 뇌졸중을 앓은 김 위원장의 건강이 최근 좋아지고 있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미 국무부는 지난 19일 평양에 외교공관을 설치한 나라의 미국 대사관들에 공문을 보내 주재국 정부와 접촉을 강화하고 북한내 동향 정보를 파악하도록 지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의 외교 소식통은 “미국 정부는 북한내 정보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는 점을 답답해 한다”며 “북한과 국교를 맺고 평양에 대사관을 둔 나라들에 대한 탐문도 김정일 사후 평양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라고 말했다.

그는 “1994년 김일성 주석이 사망했을 때도 국무부가 가장 먼저 한 일 가운데 하나는 북한과 수교한 국가의 현지 대사관에 외교전문을 보내 평양의 움직임을 간접적으로라도 파악하도록 지시한 것이었다”고 했다.

당시 이 전문을 받은 곳은 영국ㆍ독일ㆍ스웨덴을 포함해 중국ㆍ러시아ㆍ폴란드ㆍ이집트ㆍ헝가리 등 오랫동안 북한과 외교관계를 유지해온 나라들이었다. 북한과 수교한 국가는 164개국이지만 이중 평양에 상주공관을 두고 있는 국가는 30여개국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성원 기자/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