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객원칼럼> 장지연선생 서훈 누구 마음대로 취소했나
사설 ‘시일야방성대곡’ 쓴

항일지사·민족언론인

친일행적 구체적 제시 없이

일방적 서훈취소는 부당




8ㆍ15 건국 63주년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대한민국 독립과 건국은 저절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항일 독립애국지사들과 자유민주주의 신봉 지도자들, 국민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위암(韋庵) 장지연(張志淵) 선생. 민족언론인이며 항일지사로 떠받들어 온 건국공로자다. 그 유명한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 이날에 목놓아 통곡하노라)이라는 제목의 사설을 썼다. 100여년이 지나서도 교과서에 실려 있을 뿐 아니라 논설강론 등에서 자주 인용되는 대표적 명사설이다. 1905년 11월 20일 선생이 주필, 사장을 지낸 황성신문에 실렸다. 대한제국에 대한 일제의 강제 을사늑약 체결을 반대 규탄하는 내용이다. 이 사설로 투옥돼 옥고를 치르고 신문은 정간됐다. 대한민국 정부는 그 공로를 인정해 1962년 건국공로훈장을 수여했다. 

정부가 지난 4월 5일 49년 전 수여했던 훈장 취소 결정을 했다. 독립운동가에서 졸지에 친일파가 됐다. 유족과 장지연기념회 측은 정부의 결정 경위와 근거를 알 수 없다며 의문을 나타냈다. 정보공개청구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유족은 5월 27일 서울행정법원에 독립유공자 서훈취소결정 철회 소송을 냈다. 친일행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채 국무회의 결정만으로 서훈 취소를 결정한 것은 위법하다고 했다. 위암의 친일행적 논란은 1987년 부산 모 대학 교수 논문으로 불거지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 경남의 모 신문이 2003년 3월 1일 친일행적을 보도했다. 2009년 임의 사설단체인 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편찬위는 친일인명사전에 위암을 올렸다.

한편 1965년 신문편집인협회는 선생 등 유공 언론인 5명(서재필, 양기탁, 장덕준, 최병우)을 선정, 초상화를 신문회관에 게시하고 있다. 1967년엔 언론성금을 모아 묘소를 단장하고 묘비를 세웠다. 1983년 당시 마산시는 위암 묘소를 경남문화재자료로 지정하고 묘소 앞 도로를 ‘장지연로’로 명명했다. 2004년 보훈처는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보훈처는 작년 말 단 두 차례 서훈취소심사위를 열고 선생을 포함, 독립유공자 19명의 서훈 취소 결정을 내렸다. 올해 김황식 총리 주재 국무회의가 의결하고 일주일 뒤 이명박 대통령이 재가했다. 기념회 측은 언론인들로부터 독립유공자 취소 결정 철회 요구 서명을 받아 청와대 등에 보냈다. 이종석 장지연기념회장은 한마디로 이렇게 말했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2005년 대통령 직속기관으로 구성돼 막대한 예산과 인원을 투입, 2009년 조사 발표한 친일인사명단에도 선생은 없었습니다.”

‘시일야방성대곡’ 사설은 앞으로 어떻게 되나. 교과서에서 삭제돼야 하나. 유학자며 사학자이기도 한 그는 항일 민족독립정신과 자강(自强)사상을 고취, 계몽하는 수많은 글을 남겼다. 1989년 간행된 ‘장지연 전서’ 10권에 담겨 있다. 후대 언론학자들의 ‘위암 장지연 생애와 사상’ 연구 발표 논문들도 많다.

애국애족의 지울 수 없는 거대한 발자취를 남긴 건국공로자다. 훈장을 거둬들인다고 그 공로마저 지워버릴 수는 없다. 역사 왜곡이고 말살이다. 한평생 청빈하게 살다 간 위암은 결국 일제로부터 박해를 받고 대한민국(?)으로부터도 버림을 받았다. 차라리 처음부터 훈장을 수여하지 않는 편이 좋았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